* 웹표준

Mozilla Firefox는 이대로 괜찮을까?

지난주 WIRED 잡지에 Is Firefox OK? 라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한때 전 세계 15억명이 사용하고, 20%가 넘는 점유율을 가지고 있었던 파이어폭스 브라우저가 데스크톱에서는 4% 미만, 모바일에서는 0.5%로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2005년 WIRED 잡지에 표지 모델로 파이어폭스 개발자 중 당시 고등학생이던 브레이크 로스가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는데 격세 지감을 느끼게 하네요. 제가 Mozilla 프로젝트에 처음 ...
2022/02/25

공인 인증서에 대한 마지막 단상

오늘 이변이 없는 한 공인 인증서 폐지를 주요 내용으로 한 ‘전자 서명법 전부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합니다. 개정안은 공인 인증 기관, 공인 인증서 및 공인 전자 서명 제도를 폐지하고 다양한 인증 방법에 전자 서명 효력을 부여하는 내용입니다. 1999년 제정된 이후 20년만이죠. 저는 2002년부터 Mozilla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비 IE 브라우저 기술 차별성을 만들어온 ...
2020/05/20

공인 인증 기술 웹 표준 기술 개발의 현황

이찬진 대표님이 제기하신 "공인 인증 기술 웹 표준 기술"에 대한 W3C 표준화 진행 사항 및 주요 논의점을 정리하였습니다. 먼저 읽어 볼 글: Web Crypto API의 현재와 미래 W3C 워킹 그룹: http://www.w3.org/2012/webcrypto/ 국내 워킹 그룹: https://groups.google.com/forum/#!forum/webcrypto 공인인증서를 웹표준환경에서 다루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W3C Working Group들에 참여하여 활동중인데요. 현재 공인인증서 관련 몇가지 접점을 가지고 있는 W3C ...
2013/08/10

Web Crypto API의 현재와 미래

ZDNet Korea에서 액티브X 없이 공인 인증서 쓴다라는 기사로 W3C의 Web Cryptography Working Group(이하, Web Crypto W/G) 활동을 다룬 이후에 저에게 개인적 문의를 하시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이 글에서 그간 경과와 향후 해결해야할 문제가 무엇인지 알려드려 관심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우선 Web Crypto W/G이 만들어진 경과는 아래의 글을 먼저 보시면 도움이 ...
2012/03/29

차니의 강의 동영상 및 자료 총정리

지난 주에 블로그 전체에 대해 주제별 분류를 하고, 이번 주에는 제가 2003년 부터 외부 강연 활동을 시작하면서 관심 있는 주제별로 한 주요 강의 동영상 및 강의 자료를 모았습니다. 조금 오래된 자료일 수도 있겠지만, 어떤 분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다만 2008년 부터는 가급적 유료 대중 콘퍼런스 강의를 삼가고, 무료 ...
2011/06/28

Lucas Adamski 웹 개발자 간담회

지난 주 Mozilla 보안 총괄 책임자인 Lucas Adamski가 한국을 방문했습니다. 기업호민관실에서 주최한 the Security Issues of Online Banking & Payment in Korea라는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요즘은 국내 웹 산업이 앞으로 나가는데 중요한 시기이고, 여기에 웹 표준과 브라우저 선택의 이슈가 있어 160여명이 넘는 많은 분들이 참여해습니다. 주로 보안 업계, 웹 업계 ...
2010/04/28

전자서명 웹 표준화 안되나

어제 한국정보보호학회에서 주최한 공인인증서 의무화 논란에 대한 토론회가 있었습니다. 공인 인증서를 민간 금융 거래에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우리 나라에서 다른 인증 수단을 허용해 줄 것인지 여부에 대해 서로 이견을 좁히기 어려웠다는 후문입니다. 특히, KISA에서는 부인 방지 기능을 전자 서명을 요체로 하는 우리 공인 인증 기술이 국제적으로도 널리 쓰이고 있고 수출 가능하다는 입장을 ...
2010/03/26

스마트폰 뱅킹, 제도적 카르텔 선결해야

작년 12월 제 블로그에서 한국 인터넷 뱅킹 포기 선언 이후에 꽤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국내에서 석달 만에 아이폰이 30만대 이상 팔렸고, 기업들이 나서서 아이폰 기반 인터넷 뱅킹과 온라인 카드 결제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잇달아 내 놓았습니다. 이에 반해 금융감독원은 아이폰 등 스마트폰에서는 PC에 준하는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가이드라인을 내 ...
2010/02/28

한국 인터넷 뱅킹을 포기하다

많은 독자분들이 아시다시피 제 블로그에서 정말 끊임없이 제기해 온 이야기가 바로 국내의 ActiveX 기반 금융 서비스에 대한 문제입니다. 제가 2003년 8월에 프리뱅크 운동과 크로스 브라우징과 9월 안전지불 서비스 유감라는 글 부터 시작해서 수도 헤아릴 수 없습니다. 국내 Mozilla 커뮤니티를 만들고 파이어폭스와 관련되면서 웹 표준과 인터넷 뱅킹 논쟁에 정말 많은 시간을 투여해 ...
2009/12/23

오픈뱅크 2009

비 IE 브라우저, 비 윈도우 사용자에게 정녕 인터넷 뱅킹을 제공해 줄 은행은 없는 것일까요? 이 블로그에서 2003년 부터 줄기차게 이야기하고 꿈꾸어온 현실은 아직 도래하지 못했습니다. 그간 프리뱅크 운동(2003)을 비롯 오픈웹 소송(2006) 노력이 있었습니다. 그간 수도 없는 정부 대책이 발표됐지만 현실은 거의 그대로입니다. 대법원에 상고한 오픈웹 소송의 판결 선고 기일이 9월24일(목) 오후2시 대법원 ...
2009/09/23

리치웹 시대의 웹접근성

어제 좀 놀라신 분들이 있을 듯 합니다. CSS Naked Day를 맞아 웹 디자인을 좀 없애봤습니다. 문서만 깔끔하게 보이니 나름 멋져 보이더군요. 전통적으로 웹을 흔히 누구나 읽을 수 있고(Readable) 저장하고(Indexable) 접근할 수 있는(Accessible) 문서의 집합체이죠. 웹 2.0시대가 지나면서 웹이 문서에서 소프트웨어로 넘어가는 단계인데 이 와중에 수 많은 리치 웹 기술이 ...
2009/04/10

저는 ‘가짜’ 입니다

2004년 부터 였는가 싶습니다. 그 전에는 이름 모를 기업에서 개발하고 사업을 하는 평범한 개발자 중 한사람였습니다. 당시 Mozilla 프로젝트에 관여하고 웹 표준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했었는데, 자력이 아니라 'Firefox의 세계적 성공'에 힘입어서 갑자기 국내에서 저에 대한 수요(?)가 점증하게 됐습니다. 제가 믿고 있고 하고 싶은 이야기를 외부에 할 수 있는 '기회'도 점점 늘었습니다. ...
2009/04/07

보안 업체를 걸고 넘어진 까닭은?

얼마 전 존경하는 안랩의 김홍선 대표께서 손수 블로그를 시작하셨습니다. 첫글에 다소 무례할 수도 있는 저의 오픈웹 질의에 대한 간단한 답을 주셨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미 엎질러진 물을 수습하기는 백신 업체로서도 어쩔 수 없었다라는게 되겠습니다. 그러면서 총체적인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는 피력해 주셨습니다. 우리가 보다 다양한 환경을 지향해야 한다는 총체적인 방향에는 동감합니다. 중요한 것은 ...
2009/04/02

WaSP의 웹 표준 교육 과정

미국 오스틴(Austin)에서는 SXSW가 한창입니다. 2007년 부터 웹 기술 분야를 추가한 이후로 IT Geek들이 많이 참여하고 있지요. 특히, 웹 표준 대가들과 각 지역의 웹 표준 담당자들이 대거 참여하는 모임도 있었습니다. (아! 가고 싶은데... 몸은 하나고.) Twitter의 SXSW 태그만 열심히 모니터링 중입니다. 국제 웹 표준 프로젝트(Web Standards Project)에서 작년 부터 준비해 왔던 웹 ...
2009/03/17

주류가 된 웹 표준

과거(대략 2004~2005년)에 이 블로그에서 주로 다루었던 주제가 바로 웹 표준(Web Standards)이였습니다. 당시만 해도 '웹 표준'을 이야기 하면 도대체 그걸 왜 해야 하냐는 식의 끝도 없는 논쟁이 벌어지다 급기야 플레임워(Flame war)로 발전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개발자 커뮤니티 게시판이나 블로그 스피어에서도 이런 논쟁을 거의 찾아 보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하도 ...
2009/02/10

지식 경제부 장관 표창 – 오픈 소스와 웹 표준 공헌 부문

감사하게도 지난 11월 28일에 열린 제9회 소프트웨어산업인의 날 기념식 및 종합시상식에서 SW 산업발전 유공자로 선정되어 지식경제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제가 제주에 있는 관계로 시상식에 참여는 못했지만 상장을 보내 주셨네요. 사실 정부에서 오픈 소스나 웹 표준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이를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한게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 정부에서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이 ...
2008/12/07

웹 표준, 나쁜 뉴스와 좋은 뉴스

이번 한 주는 웹 표준(Web Standards)에 좋은 뉴스와 나쁜 뉴스가 한꺼번에 쏟아져 나왔습니다. 나쁜 뉴스! Microsoft의 Chris Willson은 새로운 웹 브라우저 버전인 IE8에서 기존 표준 DOCTYPE인 Strict 모드에서도 Acid2를 통과한 렌더링 엔진을 이용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즉, X/HTML Strict 모드에서도 기존 IE7의 렌더링 모드를 그대로 이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IE8에서도 기존 Strict 모드로 만들어진 ...
2008/01/24

IE8, Acid2 Test 통과

그동안 잠잠하던 마이크로소프트 IE팀이 적극적 대화를 시도하기 시작했습니다. IE Blog를 통해 지난 5일 차기 IE의 이름이 IE8이 될 것이라는 소식과 아울러 IE8이 표준 모드에서 웹 표준화 그룹(WaSP)의 CSS 표준 테스트인 Acid2 Test를 통과했다고 전했습니다. IE Blog를 통해 Dean Hachamovitch는 IE8이 IE6/7 이후 기존 웹 페이지 하위 호환성을 지키면서 (without breaking existing ...
2007/12/20

HTML5에서 미디어 포맷 논쟁 중…

W3C에서 한창 작업하고 있는 새 HTML 5 표준안에 포함한 <video>, <audio> 태그에서는 웹 브라우저가 내장 코덱(Built-in codec)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웹 브라우저 호환성을 위해 흔히 Ogg라고 불리는 Theora/Vorbis 코덱을 사용하도록 강제하고 있었습니다. 이 코덱을 선택한 이유는 W3C의 특허 자유 사용(patent-free) 정책에 따라 현재 사용 가능한 적합한 코덱이기 때문입니다. [해설] 몇몇 ...
2007/12/12

반론: 차세대 웹은 브라우저를 초월하여…

김국현님이 최근에 쓰신 컬럼 차세대 웹은 브라우저를 초월하여…라는 글을 보면 차세대 웹에서 "체험의 확장"을 위해 웹 브라우저가 상용 런타임에 자리를 내줘야 한다고 적고 있습니다. 그 이유로 자바스크립트라는 언어의 문제와 이를 기반한 Ajax라는 개발 방식이 가지는 생산성의 한계로 인해 개발자들이 고통 받고 있으며, 실제 웹 브라우저안에 웹을 가두어 두려는 체험의 확장에 ...
2007/11/28

오픈 웹과 경쟁자들…

이 글은 Mozilla의 CTO이자 JavaScript의 창시자인 Brendan의 글을 간단하게 요약 번역 한 것입니다. SXSW 컨퍼런스에서 "개방"이라는 것이 공개 표준과 공개 SW 그리고 특정 회사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 웹 컨텐츠 포맷으로 만들어지는 웹을 언급한 바 있습니다... Ted Leung이 이 주제를 Adobe와 연결 지어 글을 썼는데 Anne Zelenka가 왜 개방이 좋은지 Flash에 좋을 ...
2007/03/14

Molly, IE팀으로 가다!

좀 바쁜 일이 있어서 블로깅을 게을리 하고 있었는데, 이 소식은 꼭 전해야 겠기에.... 작년까지 웹 표준화 프로젝트 리더를 맡고 있었던 여성 웹 표준 에반젤리스트인 Molly E. Holzschlag가 Microsoft로 이직했다고 합니다. WaSP와 자신의 블로그, IE Blog에 자신의 이직 사실을 알린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 하겠습니다. 실제로 그녀는 WaSP의 Microft TF에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
2007/01/31

웹 표준 조삼모사!

Jason님이 '웹 표준 조삼모사 UCC 이벤트'를 개최하셨는데, 이제 알았습니다. 흡.. 지난 웹 월드 컨퍼런스 때 웹 표준에 대한 강의도 하시고 NHN에서 웹 표준화팀은 웹 표준에 대한 전도 활동(?)도 열심히 하고 계십니다. (Daum에서도 그렇지만 NHN에서도 UI개발을 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꽤 오랫동안 웹 표준에 대한 공부나 고민이 있었을 것입니다. 그것이 이제 외부로 ...
2006/12/27

‘HTML 개발자의 미래, 웹을 되돌리자!’에 대한 반론들

며칠 전 UI 개발자의 비전이라는 글을 조금 수정해서 ZDNet에 HTML 개발자의 미래, 웹을 되돌리자!라는 칼럼을 게재 했습니다. 글의 요지는 그간 HTML 개발을 맡고 있는 직군이 하위의 단순 업무를 맡는 수준으로 격하되어 있었지만, 최근 웹 표준 및 Ajax 같은 클라이언트 기반 개발에 대한 기술적 붐으로 인해 그 기대 수준이 ...
2006/12/11

HTML5와 웹 표준 전망에 대한 발표 자료

지난 소프트엑스포 컨퍼런스(SoftExpo Conference) 2006 트랙 중 '공개 SW의 재발견'에서 발표한 "The Future of Web Standards, HTML5"에 대한 발표 자료를 공개 합니다. 이 발표 자료에 있는 아젠다는 아래와 같습니다. - 발표 목적: 차세대 웹 표준의 방향에 대한 모색, 보다 적극적인 웹 표준 활동 참여 - 웹 표준 동향: 제 2 웹 ...
2006/12/04

11월 마지막 주, 웹 표준 주간

이제 연말도 다가 오고 하니 사람들이 한해를 정리해야 될 시기가 왔나 봅니다. 2006년 숨가쁘게 달려 왔는데 어느 듯 한 달 반밖에 안남았네요. 11월 마지막 주는 웹 표준 주간이라고 할 만큼 행사가 많습니다. - 웹 접근성 준수 실무 세미나 (11월 29일) - 2nd Korea Web Standards Day (11월 30일) - Firefox 서울 파티(12월 ...
2006/11/09

2차 웹 브라우저 전쟁, 관전 포인트는?

공교롭게도 지난 한 주 동안 웹 브라우저 시장의 새로운 경쟁 관계를 형성 시켰던 모질라 재단의 파이어폭스(Firefox)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E)가 각각 새로운 버전을 발표 했다. 이로서 그 동안 마이크로소프트가 독점하던 웹 브라우저 시장이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될 상황이 되었다. 파이어폭스는 1998년 넷스케이프가 소스 코드를 공개한 이후 전 세계 오픈 소스 개발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
2006/11/01

웹 표준을 통한 정보 접근성 개선 전략 동영상 (2005.4)

작년 4월에 SW Insight에서 강의 했던 내용 입니다. 동영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찾았습니다. 좀 챙피하긴 하지만 기록 삼아 올려 둡니다. (강의 내용 중에 PT를 비추지 않아서 좀 쌩뚱 맞을 경우도 있습니다. PT는 레식 방식을 썼기 때문에 문장 한마디에 PT 한장이 넘어갔다고 보시면 됩니다. autostart값이 false가 안돼서 바로 플레이 되는 군요. ...
2006/08/05

Dvorak, 엿같은 CSS

흡. 제 블로그 사상 최대의 선정적 제목인 것 같습니다만 이건 유명한 칼럼니스트인 존 드보락(John Dvorak)의 최근 칼럼 Why CSS Bugs Me라는 글 때문입니다. 존 드보락이 얼마나 유명한지는 아시는 분은 다 아실 겁니다. 아마 자신이 워드 프레스를 기반한 새 블로그를 만들어 봤나 봅니다. 테마를 만지는 중에 CSS라는 게 1996년도에 봤던 그게 ...
2006/08/01

OpenWeb 운동 김기창 교수 동영상 대담

국내 공공 기관에 웹페이지 국제 표준화를 위한 민원 및 행정 소송 준비를 시작으로 Open Web Activity를 주관하고 계신 김기창 교수님의 대담 동영상입니다. 이 동영상은 리눅스월드 엑스포 2006 부스에서 상영할 동영상을 제가 자막 등 약간의 편집 작업을 통해 새로 만들었습니다. 많이 유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외국인을 위한 영어 소개 동영상도 준비 되어 ...
2006/06/04

Head First: CSS & XHTML – 웹2.0 시대의 웹 표준 학습법

이미 웹 표준 3종 세트에서 예고해 드린 대로 한빛출판사에서 Head First: CSS & XHTML - 웹2.0 시대의 웹 표준 학습법이 5월 31일에 출간됩니다. Elisabeth Freeman와 Eric Freeman이 썼고 홍형경님이 번역하였습니다. 이 책에서 때로는 게임을 하고, 퍼즐을 풀며, 미스터리에 빠져들면서 지금까지 전혀 상상해오지 못했던 웹 페이지들을 만들게 될 것입니다. 또한 CSS와 함께 ...
2006/05/19

WaSP ILG 멤버 예비 후보 등록

1998년에 만들어져서 역사가 깊고 가장 활발한 웹 표준 전도(?) 활동을 해 온 Web Standards Project의 의장인 Molly E. Holzschlag에 의해 WaSP International Liaison Group 발족에 대한 이야기가 있고 나서 많은 사람들이 참여 의사를 밝혔습니다. 저도 그 중에 한 명인데, 메일링리스트가 만들어 졌군요. ... It's important to point out that this is ...
2006/05/15

수준별 웹 표준 3종 세트 임박!

이제 국내에도 웹 표준 준수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 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웹 표준을 준수한다"라고 하면 그냥 일반적인 표준 스펙을 잘 지키는 것 뿐만 아니라 구조적 마크업(XHTML)과 표현 및 레이아웃(CSS) 및 사용자 행위 제어(DOMScripting)를 잘 분리하는 고급 홈페이지 구축 방식을 의미합니다. 기존의 방식에 익숙한 사람들이 이러한 홈페이지 구축 방법을 배워서 ...
2006/02/26

세이클럽, Ajax 그리고 웹 표준

첫눈의 남세동 팀장님이 블로깅을 시작하면서 웹 2.0, 기타 등등, 그리고 한국의 웹이라는 장문을 첫 글로 올리셨습니다. 우선 블로깅의 세계에 발 담그신 것을 축하 드리고 앞으로도 예리한 시각의 글 많이 부탁 드리겠습니다. 우선 최근에 나오는 기술 트렌드를 약간 비판적 시각에서 받아 들이자는 입장에서는 충분히 공감합니다. 그런데 글 내용 중 ...
2006/02/01

국내 웹 표준 대란 현실로 나타난다

ZDnet 칼럼 2006년 국내 웹 표준 대란 오나?을 통해 두 가지 사항을 경고한 적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IE7의 웹 표준 지원에 대한 것이고 두번째는 ActiveX 사용 변경에 대한 IE 패치에 관한 것입니다. IE7 Beta2 유출 및 국내 웹 사이트 테스트 IE7 Beta2 사전 유출을 통해 일반인들도 IE7을 사용해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영문 ...
2006/01/23

실전 웹 표준 가이드의 역사?

좀 늦었습니다만 신현석님, 이성노님, 신정식님과 함께 집필한 실전 웹표준 가이드가 Mozilla 커뮤니티의 웹 개발자 페이지에서 배포 되고 있습니다. 저는 대학때 인터넷을 처음 접하면서 부터 정보의 공유가 얼마나 많은 파급력을 만들고, 사람들에게 선한 영향을끼치는지 경험을 했습니다. 대학교 4학년때 이미 국내 웹 기술 커뮤니티 멤버들과 자원 봉사로 만든 "가자 웹의 세계로"라는 ...
2006/01/12

Daum과 Apple이 웹 표준 지킨다

오늘 동아일보 김상훈기자께서 쓰신 다음-애플 ‘국제표준 홈피’ 만든다라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다음커뮤니케이션과 애플컴퓨터코리아는 최근 ‘웹 표준화’를 위한 공동 기술개발팀을 만들었다. 웹 표준화란 웹 브라우저 종류에 상관없이 인터넷을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W3C라는 국제 표준기구의 규격에 따라 홈페이지를 개발하는 것을 뜻한다. 다음은 포털 사이트를 표준화해 소수의 사용자도 쓸 수 있도록 개선해 ...
2006/01/05

Daum Top, W3C Validator 통과

Daum 공지 사항- Daum은 웹 표준을 준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근까지도 파이어폭스, 사파리, 오페라 등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저희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지속적인 개발 활동을 진행해 왔습니다. 또한 고객 센터를 통해 비 IE 사용자들에 대한 의견을 직접 들어 왔습니다. Daum의 브라우저 지원센터 ... 다양한 웹브라우저를 지원한다는 것은 기술적으로 많은 고려가 필요한 부분이기도 ...
2005/12/22

2006년 국내 웹 표준 대란 오나?

몇 주전 MS 사로부터 한 통의 메일을 받았다. 내년에 출시 예정인 윈도우 비스타(Windows Vista)에 탑재하게 될 새로운 인터넷 익스플로러 7(Internet Explorer 7)에 대한 베타 테스팅을 요청하는 요지의 메일이었다. IE7이 출시되기 전에 IE7을 통해 웹 사이트를 점검해 보고 혹시 문제 되는 점이 있는지 있다면 버그 리포트를 해달라는 것이다. 이 메일은 모 ...
2005/12/12

IE, ActiveX 동작법 변경에 따른 파급 효과

드디어 우려했던 일이 현실로 도래하고 있습니다. 2003년 10월 제가 썼던 위기에 빠진 웹 구하기에서 언급한 IE 패치를 마이크로소프트가 공식화 했습니다. Eweek의 최근 Microsoft Bows to Eolas, Revamps IE's Multimedia Handling라는 보도에 따르면 곧 ActiveX 새 구동 방법에 의해 IE에서 모든 임베딩 요소(object, applet, embed)가 기본적(값)으로 동작하지 않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
2005/12/04

W3C의 Rich Web Client Activity

드디어 W3C Launches Rich Web Client Activity가 발표 되었습니다. 지난 9월 23일 Hollobit옹에게서 워킹 그룹을 만들것이라는 W3C 내부 계획안을 받았었는데 오늘 정식으로 발족하게 되었습니다. 이 활동은 두개의 워킹 그룹을 통해 시작됩니다. Robin Berjon (Expway)가 의장을 맡은 Web APIs Working Group은 AJAX나 XMLHttpRequest 같은 표준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표준화 하는 논의를 시작합니다. ...
2005/11/18

Mozillazined, 표준 이야기…

흔히 슬래시닷에 자신의 글이 올라가면 Slashdotted 라고 이야기 한다. 그 만큼 세상 사람들의 관심사가 된다는 의미이다. 모질라 커뮤니티에서도 비슷하게 모질라진에 글이 게시되면 Mozillazined라고 한다. 지금까지 세번의 Mozillazined가 되었는데, Korean Government Websites to Support Mozilla Firefox라는 글이다. 이 글은 블로그에서 행자부, 홈페이지 평가안에 웹 표준 채택라는 글로 소개한 적이 있는 ...
2005/07/31

Mozilla 및 웹 표준 관련 외부 활동

Mozilla 프로젝트에 관여 하면서 자연히 오픈 소스와 웹 표준 관련해서 작년 부터 여기 저기에 불려 다니고 있습니다. 파이어폭스의 유명세에 힘입은 덕도 있지만, 국내에서도 웹 표준에 대한 관심이 늘어 나고 있다는 증거일 겁니다. 개인적으로 외부 활동을 즐겨 하는 체질은 아니지만 웹 표준이라는 이름을 달고 부르는 곳은 마다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일종의 ...
2005/07/01

웹 표준 기반 CSS 디자인 전략 세미나

이성노님, 장지윤님, 신현석님과 함께 하게 된 "CSS를 이용한 웹 사이트 디자인 전략 세미나"가 7월 5일 열립니다. 웹 표준에 대해 관심이 많으신 코리아 인터넷닷컴의 조준영 이사님을 통해서 어렵게 이번 워크샵을 준비하게 되었네요. 또, 한번의 유료 세미나라서 죄송하지만 일단 이렇게 라도 시작해서 앞으로 꼬옥 무료 세미나를 열어 보겠습니다^^ 코리아인터넷닷컴의 소개글 인용합니다 테이블 태그는 죽었다! - ...
2005/06/27

어느 시각 장애우의 인터넷 서핑 이야기

모질라 커뮤니티의 웹 표준 프로젝트 게시판에 웹 표준화에 대해 몇자 적고갑니다라는 감동적이 글이 올라왔습니다. 시각 장애우이자 사진의 주인공인 박동희님이 쓰신 글입니다. 박동희님은 시각 장애우로서 컴퓨터와 인터넷을 자유롭게 사용하시는 분입니다. 그의 글에는 그들이 얼마나 우리나라 인터넷을 어렵게 사용하는 지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2005/06/26

2005 W3C 한국 회원사 워크샵

W3C 한국 사무국에서 2002년 설립 된지 3년 만에 처음으로 국내 회원사 워크샵을 가졌습니다. 2005 W3C 한국 회원사 워크샵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전산원(NCA), 전자상거래 표준화 통합포럼(ECIF), 한국정보통신 산업협회(KAIT), 파슨텍(ParsenTech),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네오엠텔(NeoMTel) 등의 W3C 국내 가입 회원사와 KT, 삼성 SDS, LG CNS, 인터넷 진흥원 등 가망 가입 회사들이 함께 참여 했습니다. 저는 아침에 웹 ...
2005/06/24

웹사이트 제작 3인4각, 올곧게 가기

얼마 전 웹 표준을 준수하는 사이트 제작을 촉구하는 “이 땅의 웹 디자이너에게 고함”이라는 컬럼으로 많은 질타와 성원을 함께 받은 바 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니면 웹사이트가 깨져 보인다든지 작동을 하지 않는 문제나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이 접근할 때 어려운 점은 웹 표준을 지키지 않은 문제이기는 하나 비단 웹 디자이너에게만 문제를 지적할 것은 아니라는 의견이 ...
2005/06/14

웹 기획 컨퍼런스, 웹 표준 강의 하다

몇 주 전 코리아인터넷닷컴에서 컨퍼런스 강의 요청이 왔다. 웹 기획자를 대상으로 하는데, 웹 표준의 중요성과 기반한 사이트 구축 방법에 대해 강의해 달라는 것이었다. 연초에 포털 비지니스 기상도라는 생뚱맞은 주제로 한 강의 요청을 사양한 바 있는 데다 최근 전도하고 다니는 주제라 덜컥 승낙하고 말았다.
2005/06/03

행자부, 홈페이지 평가안에 웹 표준 채택

행정자치부에서는 매년 공공 기관 홈페이지에 대한 종합 평가를 해 오고 있습니다. 연말에 이루어 지는 이 평가는 정부 기관 홈페이지의 개선 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잣대이고, 담당 공무원들에게도 중요한 행사입니다. 이 평가를 위한 평가 지표가 발표가 되었습니다. KIPA에서 추천해서 제가 평가 지표안 마련 실무 위원으로 활동했었는데, 몇 가지 ...
2005/05/03

이 땅의 웹디자이너에게 고함

지금까지 개인적으로 얼굴 사진이 한 페이지에 걸쳐 커다랗게 나오는 형식의 전문지 인터뷰를 두번 정도 가져본 적이 있다. 본의는 아니었지만 공교롭게도 인터뷰를 요청한 매체들은 모두 웹디자이너들이 주로 구독하는 디자인 전문지들이었다. 한번은 웹서비스 개발 책임을 맡고 있었을 때였고, 다른 한번은 오픈소스 커뮤니티 개발자의 입장에서 인터뷰를 하게 되었다. 매체의 성격 상 인터뷰에서 디자이너들에 ...
2005/02/18

웹표준 에반젤리스트 – 월간 웹 1월호 인터뷰

월간 w.e.b이라는 디자인 잡지와 인터뷰를 했다. 파이어폭스에 관심을 많이 가지신 남원근 편집장님이 회사로 직접 오셨다. 파이어폭스에서 관심이 자연스럽게 웹 표준으로 옮겨 갔다. 웹 표준을 준수하는 브라우저임에도 우리나라 웹 사이트가 제대로 보이지 않거나 동작하지 않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모질라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된 계기, 그간 진행 사항 그리고 비 표준 사이트의 문제와 해결 방법에 ...
2005/01/04

웹사이트 접근성 증진을 위한 소고(小考)

요즘 들어 웹 접근성 관련한 글을 많이 쓰게 되네요.. KIPA에 기고한 글입니다. 무단 전재(?)를 하시기 전에 링크 걸어 주시고 코멘트로 알려주세요^^ I. 들면서 웹이 국내에 들어온 지 벌써 10년이 되었다. 웹을 처음 발명한 Tim Berners-Lees는 CERN연구소의 수 천명 연구자들이 이기종 OS와 개발 환경에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기종이나 환경과 상관없이 어떤 컴퓨터에서도 ...
2004/11/19

국회 인권 포럼을 다녀와서

오늘 여의도에 가서 돌발 영상의 현장을 보고 왔습니다^^. 국회 인권 포럼에서 주최하는 "정보 접근권과 공개 SW"라는 워크샵에 리눅스 및 매킨토시에서의 정보접근성 시연을 해주고 온 것입니다. 국회 인권 포럼은 주로 한나라당 의원들로 구성된 인권 신장을 위한 국회의원 연구 모임인데 정작 그날이 국회 파행이 끝나고 본 회의가 다시 시작된 날이라 한나라당 김희정 ...
2004/11/12

정보 접근성 문제에 대한 인터넷 토론

2002년 Mozilla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국내 웹 사이트의 웹 표준 준수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이러한 문제 제기에 대한 국내의 시각은 매우 낮습니다. 특히, 우리 나라 처럼 액티브X 같은 플러그인 기술에 종속되어 있는 경우 문제가 훨씬 심각합니다. 그래서, 여러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 나오는 웹 정보 접근성 문제화 표준화 이슈와 ...
2004/10/29

네이버, 일본에 망신당하러 가다

네이버가 일본에서 블로그 서비스를 오픈 했다고 합니다. 둘러 보니 한국에서 하던 서비스 코드를 그대로 옮겨가서 오픈 했군요. 아니나 다를까 Mozilla에서 엄청 보이지 않습니다. 스크롤 바도 없는 iframe과 난데 없는 text box들 그리고 왼쪽의 loading... 들. 일본에서의 Netscape와 Mozilla 사용자는 한국 보다 열 배는 많습니다. 한국은 전체 인터넷 사용자 중 Mozilla 계열 ...
2004/06/29

[CNET] Tim Berners-Lee, 웹 발명자와 인터뷰

미국이 첫 웹 페이지를 만든 지 10주년이 됨에 따라 CNET News.com은 이 획기적인 발명의 과거와 미래를 조사하는 일련의 인터뷰를 게시합니다. 1970년대 중반 옥스퍼드 대학에 재학 중인 Tim Berners-Lee는 납땜 인두를 가지고 TTL 게이트에서 컴퓨터, M6800 프로세서 및 구형 텔레비전을 조립했습니다. 15년 후 동일한 발명 재주를 보여주었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World Wide ...
2003/12/22

프리뱅크 운동과 크로스 브라우징

Mozilla 1.0 버전이 출시된지 벌써 1년이 지났습니다. 어줍잖게 한글화 작업을 시작한게 지금까지 Mozilla 1.4와 Netscape 7.1에 대한 한글화 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IE가 95%이상의 시장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다른 웹브라우저를 계속 개발 한다는 건 정말 무의미한 일 처럼 느껴질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유닉스와 매킨토시 사용자들 그리고 빠르고 간편한 웹 ...
2003/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