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2003년 부터 외부 강연 활동을 시작하면서 관심 있는 주제별로 한 주요 강의 동영상 및 강의 자료를 모았습니다. 조금 오래된 자료일 수도 있겠지만, 어떤 분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2007년 부터는 가급적 유료 콘퍼런스 강의를 삼가고, 무료 참여형 콘퍼런스를 만들고 도움을 주는데 더욱 힘쓰고 있습니다.
강연을 요청하실 분은 개인 일정을 참고하시고 아래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강의 목록
- Partner ConneXions – AWS 파트너를 위한 re:Invent 신규 서비스 소개(2016.12)
- Open Network Korea 2016 – AWS 클라우드를 통해 본 가상 네트워크 기술 진화 (2016.12)
- AWS re:Invent 특집(4) – 개발자를 위한 신규 서비스 총정리 (2016.12)
- AWS re:Invent 특집(3) – Amazon 인공 지능(AI) 서비스 및 AWS 딥러닝 프레임웍 활용(2016.12)
- AWS re:Invent 특집(2) – 서버리스(Serverless) 마이크로서비스를 위한 일곱 가지 모범 사례 (2016.12)
- AWS re:Invent 특집(1) – 파이선(Python) 개발자를 위한 AWS 활용 방법(2016.12)
- DjangoGirls를 위한 Django on AWS (DjangoGirls Seoul 모임) (2016.11)
- AWS와 Open Source (OSS개발자 그룹) (2016.11)
- AWS re:Invent 2016 참가자를 위한 강의 세션 가이드 (2016.11)
- 서버리스(Serverless)를 위한 Zombie Microservices Workshop 실습 가이드 (2016.10)
- 빠른 모바일 인증 구현을 위한 Amazon Cognito 서비스 소개 (2016.09)
- AWS 클라우드 데이터 이전을 위한 6가지 전략 (2016.08)
- AWS Code 서비스 특집 – 아마존 DevOps와 CodeDeploy, CodePipeline (2016.06)
- AWS Lambda와 API Gateway를 통한 Serverless Architecture 특집 (2016.05)
- AWS 클라우드로 천만명 웹 서비스 확장하기(2016.05)
- Amazon Echo 기반 IoT 서비스 개발을 위한 Alexa Skills Kit 및 AWS Lambda 활용 (2016.05)
- 데브옵스(DevOps)의 현재와 미래 – ChatOps & VoiceOps (2016.05)
- Amazon Elastcsearch Service 소개 및 활용 방법 (2016.02)
- AWS 시작하기 및 Amazon S3 살펴보기 (2016.02)
- 아마존웹서비스와 함께하는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전략 (2016.01)
- 글로벌 지도 API 서비스 현황과 미래 한국지리정보학회 추계 학술대회 (2014.10)
- 빅데이터 기술 현황과 시장 전망 ACE Fair Kwangju (2014.9)
- 공공 데이터와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 (2014.6)
- Mozilla Firefox OS, its Technical Platform and Future ISET 2014 (2014.5)
- Daum APIs: A to Z Seoul API Meetup 2014(2014.4)
- Firefox OS 현재와 미래 HTML5 융합 컨퍼런스(2013.11)
- 실시간 빅데이터 기술 현황 및 Daum 사례 소개 플랫폼데이(2013.11), 아이뉴스24 넥스콤 (2013.5)
- 오픈 소스를 활용한 웹 창작 교육- Mozilla Web Maker 스마트에듀데이(2013.5)
- Daum’s Business Analytics Use-cases based on Bigdata technology 한국 IDC 비지니스 분석 콘퍼런스(2012.12)
오픈 소스의 4가지 미신 CC살롱 (2012)
- Mozilla의 오픈 모바일 웹 플랫폼 아이뉴스24 넥스콤 (2012)
- Web Cryptography API의 현황과 미래 KISA 전자인증기술워크숍 (2012)
- HTML5 완전정복: 10가지 질문 한경IT클럽 초청강연회 (2012)
오픈 API: 웹 플랫폼 생태계를 만드는 기술 KAIST SW 대학원 (2012)
스타트업을 위한 성공적인 오픈 API 만들기 프라이머 엔턴쉽 (2012)
- Daum의 내부 빅데이터 활용 사례 DT인사이트 2012
Mozilla와 오픈 모바일웹 조선비즈 HTML5 콘퍼런스 (2011)
HTML5와 모바일 웹의 변화 SK플래닛 T아카데미 열린 특강 (2011)
대용량 Linked Data 검색 서비스 현황 한국 시맨틱웹 콘퍼런스 (2010) 및 KRNET 2011
HTML5 in Korea Firefox Developer Conference JP (2010)
- 태블릿과 HTML5 기술 변화 제3회 朝經인사이트포럼 (2010)
HTML5 소개 및 현황 HTML5 오픈 컨퍼런스 (2010)
- HTML5와 모바일 웹 모바일 웹앱스캠프 (2009)
워드프레스 제대로 쓰기 WordCamp Seoul (2010)
- 국내외 소셜 웹 기술 현황 및 전망 제15회 정보통신응용기술워크숍 (2010)
- 클라우드 기반의 시맨틱 웹 검색 개발 사례 플랫폼데이 (2010)
- 대학 교육을 통한 오픈 소스 커뮤니티 육성’ ZDNet 오픈소스 최신 기술 및 산업 전망 컨퍼런스 (2009)
- The Status Of Web Interoperability And Activities In China, Japan And Korea 한중일 공개SW포럼 (2009)
- Geo Service Open API 플랫폼 구축 전략 한국 GIS학회 공간정보 연구회 정기 세미나 (2009)
Firefox 3.5 and Next 미래 웹 포럼 (2009)
- 개방형 기술 플랫폼의 현황 KRNET (2009)
- SNS에서 사용자 상호작용 모델링 Asian Semantic Web Conference (2009)
- 오픈 소스 개발 방법론 ETRI 초청 강연 (2009)
- 개방과 검색 그리고 참여 문화 Daum 오픈 지식 인사이트 (2008)
- 매쉬업 동향과 향후 전망 KRNET (2008)
IT 블로거, 가늘고 길게 가기 대한민국 블로거 콘퍼런스 (2008)
사용자 참여형 Where 2.0 플랫폼 제 11회 GIS 국제 세미나 (2008)
- Why not Web 2.0 in Korea? Barcamp Miami (2008)
- The History and Status of Mozilla Korean Community Mozilla Party JP 9.0 (2008)
- Mozilla 프로젝트와 오픈 웹 JCO 오픈 소스 콘퍼런스 (2007)
- The Future of Web Standards, HTML5 소프트엑스포 인사이트 (2006)
-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 소개 차세대 웹 콘퍼런스 웹 애플리케이션 워크샵 (2006)
Firefox 2.0 소개 바캠프서울 (2006)
웹 2.0 주요 기술 트렌드 웹 2.0 콘퍼런스 코리아 (2006)
웹 표준 기술의 미래, HTML5 비즈델리 웹 표준 워크샵 (2006)
- 웹 표준에 기반한크로스 브라우징 표준화 TTA PG 401 워크샵 (2005)
Ajax 기술 소개와 향후 전망 비즈델리 인터페이스의 혁신, Ajax 실전 워크샵 (2005)
웹 표준 기반 사이트 구축 중요성 비즈델리 웹 표준 기반 CSS 디자인 전략 세미나 (2005)
웹 표준을 기반한 웹 사이트 기획 비즈델리 웹 사이트 성공 세미나 (2005)
공개 SW 프로세스- Mozilla 프로젝트 SoftEXPO 소프트웨어 인사이트(2004)
- 리눅스에서 웹 표준 문제 SoftEXPO 소프트웨어 인사이트 (2004)
- 웹 표준 현황 및 개선, 정보통신 접근성 전략 세미나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4)
- 정보 접근권과 공개SW ‘정보 접근성 시연’ 국회인권포럼(2004)
- 인터넷 음악 방송의 미래, Webcast 2000 컨퍼런스 패널 토의 COEX 그랜드볼륨, ㈜캐스트서비스(2000)
- 인터넷 방송 기술의 현황, 한캐스트 웹캐스팅 세미나 한경 빌딩, ㈜다음커뮤니케이션 (1999)
- 객체 지향 DB 기반 전자상거래 솔루션 소개 – KRNET 1998
- 웹코리아 제5회 WWW 워크샵 강의 ‘인터넷의 시작’ 경북대학교, WWW-KR (1997)
- 웹코리아 제4회 WWW 워크샵 강의 ‘웹서비스 정책 및 전략’ 광운대학교, WWW-KR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