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 만담

개발자의 최고 경력을 위한 회사 이직 주기는?

‘떠날 직원 알아내는 알고리즘'에서 본대로 국내 직장인들이 한 회사에서 1,3,5,7년 즉 홀수해에 이직을 고려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요즘 대기업은 신입 1년차의 퇴직율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회사에 대해 다 파악 후, 맘에 안들면 빠르게 탈출하는 게 낫기 때문이죠. 그리고, 3년차, 5년차 연차가 높아질 수록 이직 가능성은 조금씩 낮아지고 오히려 회사에 머물려고 하는 ...
2023/10/17

인공 지능은 제품을 창조하지 못한다

(한줄 요약) 아무리 작은 신규 기능이라도 사람들 사이의 오랜 기간의 협업과 소통의 결과물입니다. 인공 지능은 그것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거나 나중에 설명해 줄수는 있어도, 직접 만들어 주지는 못합니다. 지난 3년간 AWS 내 클라우드 서비스의 신규 기능을 소개하는 블로그 글을 100여개 정도 작성하였습니다. AWS News 블로그 글 작성 요청은 대개 출시 몇 개월 ...
2023/05/04

어려운 시기를 이기고 새롭게 시작합시다! From 2001

2000-2001년 닷컴 버블 시기 코스닥 주가지수 간간히 들려오는 IT 스타트업들의 구조 조정 소식을 들을 때 마다, 20여년전 몸소 겪었던 닷컴 버블의 악몽이 다시 떠오릅니다. 당시 나인포유라는 온라인 음악 콘텐츠 사업을 했던 저도 어쩔 수 없이 직원을 내보내야 했습니다. 갑작스런 닷컴 버블 붕괴로 온라인 광고 물량이 끊기고 후속 투자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2023/02/21

네이버, 카카오, 엔씨소프트 임원은 연봉을 얼마나 받을까?

매년 이맘때가 되면 국내 상장사들은 전자 공시 시스템에 '사업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주요 IT 기업들의 지난 한해 사업 내용과 회사 내부 상황을 잘 볼 수 있는 정보이기 때문에 늘 챙겨서 봅니다. 각 사업 보고서 내용 중에 꽤 관심 있는 부분은 "임원과 직원에 대한 사항"인데요. 2014년도부터 상장사들은 5억 원 이상 상위 ...
2022/03/21

블록체인판 Web3 열풍 속 현실적 반론

4년전인 2018년 새해 첫 글이 블록체인 (비트코인) 열풍 속 현실적 조언이었습니다. 당시에는 일반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 거품이 꺼질 거라고 예상했는데, 한때 폭락했던 암호화폐 시장은 팬데믹과 더불어 온 유동성 과잉 시장에서 최대 6배까지 올라가기도 했네요. (세상사 모를 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 개발자들은 인공 지능 다음으로 블록체인을 공부하라고 권고했고, 스타트업에게는 분산 사이클에서 새로운 킬러 ...
2022/01/21

NFT 대체재? 인터넷 아카이브 (Internet Archive) 25주년

요즘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Fungible Token)이 대세입니다. 블록체인을 활용해 복제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값을 붙여서 경매 가능한 희소성 높은 예술품과 비슷한 가치를 부여하는 것인데요. NFT로 제작한 디지털 컨텐츠가 암호화폐처럼 과도한 가치가 매겨지거나, 위작이면 이를 감별할 수단이 없다는 측면에서 거품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기존 고가품 경매 시장이라는게 그들만의 리그였고, 위작 시장도 ...
2021/12/10

타다(TADA)의 혁신, 더 큰 미래를 생각할 때

2015년 우버의 철수와 함께 그나마 모빌리티 서비스의 혁신을 주도해 온 타다(TADA)의 렌트카 기반의 차량 공유 사업 모델을 금지하는, 일명 ‘타다금지법’으로 불리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이 법사위를 통과했습니다. 이변이 없는 한 국회에서 통과될 전망입니다. 이에 타다 운영사 VCNC는 ‘타다 베이직’을 중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말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네요... 아무리 기술이 발전하고 세상이 변해도 같은 ...
2020/03/04

블록체인 (비트코인) 열풍 속 현실적 조언

인공 지능(AI) 시대의 현실적 조언에서 처럼 저는 블록체인(Blockchain)이나 암호화폐(Cryptocurrency) 전문가가 아닙니다. 다만, 이 글은 IT 기술로 인해 세상이 바뀌기 시작할 때 그 주변에서 일어나는 패턴을 몇번 경험해 본 결과, 각 분야에 있는 분들이 현실적으로 택할 수 있는 이야기를 간단하게 풀어 보려고 합니다. 이 내용을 진지하게 받아들일지 말지는 전적으로 여러분의 선택에 ...
2018/01/02

어른들의 소통 방식

김상조 공정위원장이 '스티브 잡스'를 비유로 들어 이해진 의장의 경영 능력에 대해 비판한 것은 적절하지 못했습니다. 국내 IT 산업에 대한 무지를 그대로 드러낸 것이고, "당시 이 얘기를 할까 말까 하다가 안 했다"라는 이야기를 언론에 한 것은 더욱 그렇지요. 당사자에게 개인적으로 하면 되지, 언론에 그 이야기를 왜 하시나요? (9월 5일자 국민일보 인터뷰 ...
2017/09/11

인공 지능(AI) 시대의 현실적 조언

우선 저는 인공 지능 전문가(?)가 아닙니다. 다만, 이 글은 IT 기술로 인해 세상이 바뀌기 시작할 때 그 주변에서 일어나는 패턴을 몇번 경험해 본 결과, 각 분야에 있는 분들이 현실적으로 택할 수 있는 이야기를 간단하게 풀어 보려고 합니다. 이 내용을 진지하게 받아들일지 말지는 전적으로 여러분의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일반 개발자 개발자의 숙명처럼 새로운 ...
2017/07/05

정보 인스턴스화 – The Instance Information

요즘 콘텐츠 공유의 유행을 보면 페북이나 트위터로 보여지는 '밀어서 보기(Swipe to read)' 같은 열 장 이내 그래텍스(Gratex)나 스토리텔링식 슬라이드쉐어가 인기를 끕니다. 이제 뉴스 기사나 긴 블로그 글은 읽기도 힘들고 잘 공유하지도 않습니다. 바야흐로 정보 인스턴스화 시대에 접어들었네요. 아마 "밀어서 보기"의 원조는 아마 "밀어서 잠금해제(?)"가 아닐까 싶은데요. 최초는 아마 페이스북의 포토셋 기능을 ...
2015/04/06

우버(Uber)를 응원합니다!

우버코리아가 지난 3월 6일 오후 5시부터 우버엑스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위반 혐위로 검찰로부터 기소 당하고, 서울시의회가 우버 불법 영업 신고 조례를 통해 집중 단속을 받았죠. 얼마 전 우버X 무료 서비스라는 초강수를 두었습니다만... 저는 얼마 전 밤 늦게 강남역에서 택시를 잡지 못하고 헤매다가 우버를 통해 편하고 쉽게 귀가할 수 있었습니다. ...
2015/03/09

미국 FCC, 망중립성 강화 규정 통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인터넷 서비스의 차별을 없애는 '망중립성' 강화 규정((net neutrality protections)을 확정했습니다. ( FCC Open Internet Rules) 새 규정의 핵심은 인터넷망을 전화나 전기와 비슷한 공공재로 간주해 통신 업체가 별도의 대가를 받고 특정 콘텐츠의 전송 속도를 빠르게 해 주는 이른바 '급행 차선'을 금지하는 것입니다. 또 서비스 종류에 따라 합법적인 콘텐츠를 차단하거나 속도를 ...
2015/02/27

NHN NEXT 사태 추이

NHN넥스트 사태를 보면서 느낀건데 교육이란 테마는 정말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2015/01/19 :: [NHN NEXT(넥스트)] 학생이 네이버에게 사회적 약속이란 무엇인지 묻습니다  2014/12/24 :: NHN NEXT(넥스트) 기사: NHN NEXT 학생들, 이해진 네이버 의장에게 편지를 띄우다 2014/12/22 :: NHN NEXT(넥스트) 사태 추이-12월 22일 월요일 2014/12/19 :: NHN NEXT(넥스트) 사태-네이버 사외이사와의 간담회 후기 2014/12/18 :: NHN NEXT(넥스트) ...
2014/12/16

연말 단상

"나이가 들고 경력이 쌓였는데도 손발이 없다고, 의사 결정 안 해 준다고, 예산 없다고 일하기 힘들다는 사람들이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자기가 혼자 다할 줄 알고, 해결할 수 있어야 일을 제대로 하는 사람이 아닐까?" 오늘 점심 함께 드신 분의 조언!
2014/12/01

유튜브로 국내방송 못본다?

유튜브로 국내방송 못 본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오는 12월 1일부터 유튜브에선 SBS와 MBC 방송 영상 클립을 볼 수 없다. PC와 모바일 모두 해당된다. SBS 관계자는 "오는 12월 1일부터 SBS TV 프로그램의 한국 내 유튜브 서비스를 중지한다"며 "다른 영상 공급 업체들도 참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SBS는 방송국으로서 2010년 세계 최초로 유튜브에 프로그램을 ...
2014/11/25

혁신적인 기술은 무엇일까?

지난 10월 31일 국내에 애플 아이폰6가 발매되었습니다. 역시나 예약 주문이 넘쳐 나고, 맨 처음 아이폰을 받기 위해 매장 앞에 줄을 서는 진풍경이 연출되었습니다. 애플은 역시 2009년 국내에 아이폰이 처음 나왔을 때와 마찬가지로 열성팬이 많은 회사이자 제품입니다. 하지만, 5년이 지난 지금 스마트폰 시장의 막강한 영향력을 자랑하던 아이폰의 국내 점유율은 6~7%에 불과하고, 거의 ...
2014/11/20

정부실패(政府失敗), 그 끝 없는 여정

우리 나라 IT 산업은 반도체 및 전자 산업 육성 시기의 드라이브 했던 경험 때문인지 아직도 정부 기반 혁신 실패 사례가 끊임없이 양산되고 있습니다. 대략 아래 주제만 봐도 긴 말 안해도 감이 옵니다. 액티브 X기반 '공인 인증서' 'WIPI' 플랫폼 의무화 주민 번호 대체 'I-PIN' 게임 등급제 및 '셧다운' 제도 공인 전자 ...
2014/02/24

SW 산업의 문제, 과연 정부 정책의 문제일까요?

손재권 기자님이 쓰신 글 동감합니다. 손재권 오늘 신문 사설 중...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졸업생 10명 중 9명이 전공을 버리고 다른 길을 간다. 정부가 소프트웨어 정책을 제대로 펴지 않고 20년 넘게 방치한 결과다." 소프트웨어 정책을 담당하는 미래창조과학부 공무원을 상대로 한 강연에서 나온 말이다. 강연자인 S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 - 전공을 버린 서울대 CS 학생 9명 ...
2013/11/02

대학생 프로그래밍 교육 어떻게?

정부에서 창조 경제의 일환으로 IT 기반 지식을 통한 융합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초등생 부터 프로그래밍 교육 개설에 열의를 가지고 있죠? 아마 얼마전 나온 Code.org의 아래 동영상이 큰 영향을 준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일부 대학들도 교양 필수 과목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을 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그 중에 한 대학이 저에게 문의를 해와서 제가 드린 소견을 잠시 ...
2013/08/23

존경하는 마광수 교수님께

존경하는 마광수 교수님께, 며칠동안 교수님의 수업을 듣는 학생들과 교수님 사이에 있었던 일들이 언론에 공개되면서 불편한 심정이실 것 같습니다. "적반하장이에요. 수업 교재도 안 사고 버티는 학생이 많아요. 싸우러 가는데 총 안 갖고 가는 거랑 똑같아. 제가 수십 년 동안 가르쳤는데 예전 학생들은 당연히 교재는 사는 걸로 알았어요. 사실 의무적으로 영수증 제출하라고 한 건 ...
2013/03/29

2013년 테크 CEO의 신년맞이 각오!

2013년 새로운 해가 밝았습니다! 여러분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구요. Joy of Tech의 "2013년 테크 CEO의 신년맞이 각오!"라는 풍자 웹툰을 번역해 봤습니다. 최근 IT 업계 동향을 적나라하게 표현하는 거라 재미있고, 올해 어떻게 될지 한번 살펴볼 만한 내용입니다. 출처: http://allthingsd.com/20121231/tech-resolutions-comic 제가 하고 있는 Daum DNA의 외부 개발자 지원 및 커뮤니티 지원, 산학연 협력을 담당하고 ...
2013/01/02

자녀를 위한 스마트폰 이용 규칙 18계명

미국의 Janell hoffman이라는 엄마가 아이에게 아이폰을 선물하면서 만든 규칙을 우리 상황에 맞게 좀 순화해봤습니다. 휴대폰은 이렇게 사용하는 것이다! 최신 휴대폰을 가지게 되어 기쁘지? 그런데 이것을 사용하는데 몇 가지 규칙이 있단다. 이 규칙을 잘 지킨다면 훌륭한 어른으로 커갈 수 있을 것이다. 꼭 아래 사항을 명심하기 바란다. 1. 휴대폰은 너에게 빌려주는 것이다. 엄마 돈으로 샀고 ...
2012/10/31

애플 Siri의 엉뚱하지만 재미있는 응답들

SIRI에다 말 거는 사람들. 기술의 진보라기 보다 온라인 소셜 웹 시대지만 역설적이게 오프라인에서 파편화되고 외로워지는 사람들의 감성에 소구하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더 관심을 끈다는...
2012/06/13

나에게 던지는 스무가지 질문

5월이 되었다. 올해들어 블로그에 4개월 동안 글을 두 개 밖에 쓰지 않았다. 2009년 박사 과정 가면서 글 수 가 줄어들기 시작해서 급기야 복직을 한 작년에 50여개 밖에 안 썼을 정도다. 물론 소셜웹 서비스의 영향이 없진 않겠으나 1년 동안 일에 다시 복귀하고 나서는 스스로 채우고 뱉아낼 여유가 없었다. 이제 이야기를 풀어나갈 때가 ...
2012/05/02

빅데이터- 리눅스 열풍과 닮았다?

작년 뉴욕 Hadoop World 참관에 이어 두번째로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에 대한 콘퍼런스로 유명한 Strata 2012를 위해 샌프란시스코를 다녀왔습니다. 요즘 버즈워드로 뜨고 있는 “빅데이터(Big Data)”라는 열풍 때문에 예년과 달리 2천여명의 참가자가 운집하였고, 업계 최고 벤더와 데이터 스타트업들이 참여하였습니다. 과거와 달리 최근에 기술 콘퍼런스는 모두 개방형으로 Strata 2012 역시 주요 키노트와 세션을 생중계도 해주고 ...
2012/03/05

나와 애플 – 스티브 잡스를 기리며

10월 5일 스티브 잡스가 iHeaven으로 떠났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iSad한 날이라고 표현하고 있네요. 저는 애플에 대해 꽤 비판적인 시각은 많이 견지했지만, 스티브잡스가 해 낸 위대한 혁신으로 인해 IT 산업 전체가 수혜를 입어 왔음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저와 비슷한 세대의 많은 분들이 Apple ][로 컴퓨터 입문하신 분들입니다. 초등학교 때 금성 FC-100을 사용해 보았지만, ...
2011/10/07

오픈 소스 교육 확대를 위해

얼마 전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의 국제 워크숍에 다녀왔습니다. 이름도 생소한 이곳은 산학협력 같은 실질적 공학 교육을 위한 학자들의 모임이라고 합니다. 제주대 컴퓨터공학과와 다음커뮤니케이션간의 산학 협력 모델을 발표하기 위해 갔었는데, 거기서 많은 정보를 얻은 것 같습니다. 대개 쿼터제(4학기제)를 운영하는 미국에서는 16학기 동안 회사에 인턴쉽 프로그램을 4~5회 보내는 Co-op 프로그램이라는 산학 모델이 있는데 역사가 100년이 ...
2011/08/06

우리에게 스타 개발자는 없는가?

며칠 전 블로터닷넷에서 우린 왜 스타 개발자가 없나?라는 대담 기사를 실었습니다. 세 분 모두 개인적으로 알고,좋아하는 분들이라서 즐겁게 읽었습니다. 개방형 웹의 미래와 네이티브 앱 마켓에 대비한 유연한 대응이 될만한 하이브리드앱에 대한 전략 또한 동감합니다. 이런 분야에서 앞서서 세 분이 하는 노력에도 감사를 드립니다. 그와 함께 나온 이야기가 바로 국내 웹 개발자 생태계와 ...
2011/06/16

TEDx 커뮤니티에 바라는 점

조금 전 국내 TEDx 오거나이저들이 모이는 비공식 워크샵에 다녀왔습니다. TED 본사의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Lara Stein이 방한하여, 40여명의 국내 오거나이저들이 모이는 첫 모임이었습니다. TEDxSeoul의 류한석님이 옵저버로 초대를 하였지만, 얼마 전TEDx에 대한 유감글을 쓴 직후라 국내 오거나이저들이 어떻게 생각할지 약간 꺼리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제 글이 TEDx를 아끼는 마음에서 쓴 글이기 때문에 과감히 ...
2011/05/22

동영상, 웹의 일부가 되다

HTML5 동영상을 두고 애플과 어도비 그리고 웹 브라우저 벤더와 서비스 업체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유튜브를 비롯 많은 웹 서비스들은 아이폰과 아이패드 호환성을 위해 HTML5 <video>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반해 최근 인터넷 TV 서비스인 Hulu는 <video>를 관망하고 플래시 동영상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보였기 때문이다. 마치 과거 넷스케이프 vs. IE와 이에 따른 웹 ...
2010/05/24

Lucas Adamski 웹 개발자 간담회

지난 주 Mozilla 보안 총괄 책임자인 Lucas Adamski가 한국을 방문했습니다. 기업호민관실에서 주최한 the Security Issues of Online Banking & Payment in Korea라는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요즘은 국내 웹 산업이 앞으로 나가는데 중요한 시기이고, 여기에 웹 표준과 브라우저 선택의 이슈가 있어 160여명이 넘는 많은 분들이 참여해습니다. 주로 보안 업계, 웹 업계 ...
2010/04/28

막바지 천혜향(백록향) 공동 구매

감귤을 사먹으면 제주 사람이 아니라는 속설이 있습니다. 저도 제주 온지 이듬해 부터는 미상품 감귤을 얻어 먹곤 했는데요. 제주 감귤은 대개 매년 10월 중순 부터 이듬해 4월까지 품종에 따라 계속적으로 출하됩니다. 원래 노지 감귤은 1월이면 끝나는데 4월까지 출하되는 신품종이 있습니다. 바로 천혜향이라는 품종으로 오렌지와 감귤을 선택 교배해서 만든 것입니다. 처음 천혜향을 ...
2010/04/02

오픈마루 유감

엔씨소프트가 2006년 웹 서비스 업계에 진입하면서 과감하게 시도했던 서비스들이 문을 닫게 됐네요. 라이프팟, 롤링리스트, 레몬펜 등이 오는 4월 30일자로 종료한다고 합니다. 국내 최초 오픈ID 제공 서비스인 MyID.net과 웹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인 스프링노트는 상대적으로 사용자가 많아서인지 이번에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사실 이 두 서비스는 외부와 연결된 곳이 많아서 상당히 문제가 ...
2010/03/29

스마트폰 뱅킹, 제도적 카르텔 선결해야

작년 12월 제 블로그에서 한국 인터넷 뱅킹 포기 선언 이후에 꽤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국내에서 석달 만에 아이폰이 30만대 이상 팔렸고, 기업들이 나서서 아이폰 기반 인터넷 뱅킹과 온라인 카드 결제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잇달아 내 놓았습니다. 이에 반해 금융감독원은 아이폰 등 스마트폰에서는 PC에 준하는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가이드라인을 내 ...
2010/02/28

선택할 수 없는 대한민국

이 글은 Mozilla Asian Evangelist이자 한국의 인터넷 상황에 대한 내용을 해외에 알리는 글을 다수 기고한 바 있는 Gen Kanai의 글 전문입니다. 현재 우리의 상황에 대한 외부 시각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바랍니다. 여러 뉴스 기사와 블로그 글에 나온 대로 유럽 연합과 마이크로소프트 그리고 Mozilla를 포함한 웹 브라우저 개발사와 함께 작업한 ...
2010/02/24

올해는 사용자를 골탕 먹이지 맙시다.

이 글은 ZDNet Korea의 컬럼으로 게재한 글로서 원본의 무단 전재를 할 수 없습니다. 웹 서비스 업계에 있다보면 본의 아니게 자의반 타의반 '사용자를 골탕 먹이는 일'이 비일 비재하게 일어난다. 다수 사용자는 침묵하게 마련이다 보니 주는 대로 꾸역 꾸역 먹어야(써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장 큰 이뉴는 웹 기획자라 불리는 사람들이 서비스와 사용자 ...
2010/01/11

새해에는 결심하지 말기로 하자

매년 새해가 되면 블로그에 그 해 각오를 적고, 그 해의 간단한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런데 (선배들께는 죄송한 이야기지만) 나이가 점점 들어가다 보니 하루하루가 무뎌지고 한해한해가 그냥 지나가 버리는 것 같습니다. 어떤 만화에서 나이가 들면서 삶의 단조로움에 익숙해 지기 때문에 그렇다고 합니다. TV에 나오는 어떤 사람들 처럼 자신만의 뚜렷한 계획을 세우고 뭔가에 집중해서 결국 ...
2010/01/05

Daum Blue, 2009년 Life hacker 추천 테마 선정!

유명 IT 블로그인 Lifehacker에 2009년을 결산하는 올해 최고 파이어폭스 부가 기능 및 테마 중에 Daum Blue가 선정되었습니다. Daum Blue는 지난 3월에 Mozilla와 Daum의 전략적 제휴 계약의 일환으로 개발된 것으로 사내 공모전을 통해 만들어진 테마 입니다. 테마로는 유일하고 실제로 지난 6월에 Lifehacker를 통해 Daum Blue Firefox Theme is Clean, Simple, and Elegant ...
2009/12/24

한국 인터넷 뱅킹을 포기하다

많은 독자분들이 아시다시피 제 블로그에서 정말 끊임없이 제기해 온 이야기가 바로 국내의 ActiveX 기반 금융 서비스에 대한 문제입니다. 제가 2003년 8월에 프리뱅크 운동과 크로스 브라우징과 9월 안전지불 서비스 유감라는 글 부터 시작해서 수도 헤아릴 수 없습니다. 국내 Mozilla 커뮤니티를 만들고 파이어폭스와 관련되면서 웹 표준과 인터넷 뱅킹 논쟁에 정말 많은 시간을 투여해 ...
2009/12/23

아이폰은 변화의 단초일 뿐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아이폰 국내 출시일이 일요일에 전격적으로 공식 발표 되었군요. 아이폰 예약도 가능합니다. 이 블로그에서도 꽤 오랫돈안 아이폰의 국내 출시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 왔습니다. 그 이유는 아이폰 그 자체 보다는 그것이 가져올 "변화"를 기대해 왔기 때문입니다. 근 10여년째 세 대의 스마트폰을 써 왔지만, 멋진 네트웍 인프라에 비해 정말 제대로 ...
2009/11/23

별책부록. 미디어에 대한 나의 생각

최근 네이버의 뉴스 서비스 변화에 대한 저의 글을 읽고 많은 분들이 불편한 마음을 가지신 분이 많은 줄 압니다. 이 블로그의 주제인 웹 2.0, 웹 기술, 오픈 소스 등과 조금 동떨어진 주제일 뿐 아니라 경쟁사 서비스를 비판적으로 다루고 있으니까요. 이 블로그에서도 1년에 두 서너번 정도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해 다루고 있고 이 ...
2009/01/21

오월동주(吳越同舟)-위기는 합심해 극복해야…

한국 CCL 리더이신 윤종수판사님의 사자성어 릴레이가 저에게 와 있었군요. 좀 늦었습니다. 올해를 돌아보고 새해의 각오를 사자성어로 표현하는 릴레이 인데요.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올 한해는 세계적인 위기로 인해 유독 변화가 심하고 어려움이 직면해 있습니다. 이런 시기 일수록 나와 의견이 다르거나 좋아하지 않는 것에 대한 호불호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얼마나 안 좋은 일인지 ...
2008/12/30

MWLC(2) 한국 데이터 요금은 ‘트라우마’ 수준

모바일 및 웹 2.0 리더스 캠프의 단연 화제는 드림위즈 이찬진 대표님의 직설 화법이었습니다. 최근 이 대표님은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을 통한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수익 창출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계시죠. 최근 블로그에도 개발 하고 계신 아이폰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야기를 한창하고 계십니다. 문제는 아무리 풀브라우징이 가능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아이폰이 나오더라도 현재처럼 한국 사람들이 ...
2008/12/20

MWLC(1) 한국 웹 2.0은 생태계 복원이 먼저!

지난 주에 모바일 웹2.0 리더스 캠프라는 행사를 다녀왔습니다. 행사에 참여하신 분이 150분 정도 되는데 블로거들도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다들 열심히 일하시기만 하는 분들인지 블로그 후기가 거의 없네요. 그래서, 어쩔수 없이 제가 주로 느낀 점을 좀 써보고자 합니다. 우선 전체 행사에 대해서는 지킬박수님의 메모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그리고 아래 뉴스 기사들을 ...
2008/12/18

MWLC, 한국형 foo camp?

연말이 되니 또 다시 행사와 모임이 많아지네요. 지난 웹앱스콘 이후로 잠행 모드로 제주에만 있다 보니 서울 계신 분들 만나기가 하늘에 별따기가 되 가는 듯 싶습니다. 일단 다음 주에 비즈델리가 반기에 한번씩 하는 웹 월드 컨퍼런스가 있군요. 유료 행사이긴 해도 업계 한다하시는 유명한 분들은 다 나오시니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저도 ...
2008/11/28

해외 IT 업계 만우절 농담 모음

어제 제 안타깝고도 썰렁한 만우절 농담에 속아 주셔서 감사하고 죄송 합니다. 그래서 하루 늦은 시간 펼쳐진 각국 IT 업계의 만우절 농담들을 모아보았습니다. 제가 본 것 중에 제일 대박은 Microsoft 오픈 소스 커뮤니티 인수 발표! 기사 입니다. 오픈 소스 대표 사이트인 OSI의 로고도 Microsoft와 OSI 로고를 합친 것이더군요. 스티브 발머가 직접 ...
2008/04/02

IE8 특집 – 뭐가 바뀌었나?

지난 Mix 08에서 출시한 제품 중 가장 많이 화두가 된 Internet Explorer 8에 대한 특집입니다. 하루 전까지만 해도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서 엉뚱한 세션을 듣기로 했다가 행사 당일 세션 정보가 나올 정도로 보안이 철저했던것 같습니다. Mix08에서 IE8에 대한 세션은 크게 네 가지 입니다. IE8 개괄적인 소개, CSS 표준 준수 사항, DOM 및 ...
2008/03/18

FOWA 08 Day 1 – 워크샵 Improving Performance

간단한 점심을 먹고 오후 워크샵이 시작되었는데, 참가자 하는 사람이 없길래 원래 신청한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A-Z까지'는 너무 식상한 듯 하여 '웹 서비스 성능 향상'이라는 워크샵에 들어갔습니다. Digg.com의 아키텍터인 Joe Stump가 진행했는데 워크샵 내내 느낀 점은 돈 없는 벤처 기업이 어떻게 하면 돈 안들고 성능 향상을 꾀할까라는 수 많은 꼼수와 노하우를 ...
2008/02/29

IE8 베타 1, Firefox 3 복사판이 될까?

IE8 베타 1이 3월 5-7일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MIX 08에서 발표된다는 첩보를 입수하였습니다. 첫 모습을 발표장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니 정말 신나는 일이네요. IE8은 작년 3월 MS Tech Summit에서도 요구 사항을 수집한다는 언급이 있었고, MIX07과 IE 블로그에서 출시를 기정사실화 했을 뿐만 아니라 얼마 전 IE8 렌더링 엔진이 고급 웹 표준 테스트인 ...
2008/02/28

IE8, Acid2 Test 통과

그동안 잠잠하던 마이크로소프트 IE팀이 적극적 대화를 시도하기 시작했습니다. IE Blog를 통해 지난 5일 차기 IE의 이름이 IE8이 될 것이라는 소식과 아울러 IE8이 표준 모드에서 웹 표준화 그룹(WaSP)의 CSS 표준 테스트인 Acid2 Test를 통과했다고 전했습니다. IE Blog를 통해 Dean Hachamovitch는 IE8이 IE6/7 이후 기존 웹 페이지 하위 호환성을 지키면서 (without breaking existing ...
2007/12/20

구글과 정부의 어설픈 지도 서비스 협상법

어제 오마이뉴스에서 국정원, 구글에 '국가전략지도' 주려했다라는 폭로성 기사가 뜬 이후로 좀 더 정황이 뚜렷한 전자신문의 우리나라 전자지도 구글에 넘겨주나라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핵심 논지는 구글이 국정원 측에 ‘전자지도의 사용 권한을 얻는 대가로 국내 보안 기관 노출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시정 요구를 들어주겠다’는 제안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졌다라는 데 있는 것 같습니다. 오마이뉴스에서 ...
2007/11/28

OpenID 유감

Identity 2.0 의 다양한 기술 스펙 중에 하나 였던 OpenID가 그 세력을 넓히고 있습니다. MS, VeriSign, Janrain, Sxip가 OpenID 기반의 협력을 약속 하고 AOL도 OpenID 지원을 공식화함으로서 Identity 2.0의 대세가 OpenID쪽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국내에서도 오픈 ID 커뮤니티가 생기나고 세 개의 오픈 ID 프로바이더가 생겨났습니다. 또한, 오픈 아이디만으로 인증을 ...
2007/05/02

보다 근본적인 “웹 구조 개혁 제안”

ZDNet 칼럼니스트이신 김국현님이 작금의 공인 인증과 기술적 이슈와 관련해서 웹 구조 개혁 제안이라는 글을 쓰셨습니다. ActiveX와 공인 인증에 대한 대안에 대한 근본적 의문 제기라고 볼 수 있으며 이 의견에 적극 찬성합니다. 공인 인증 기반 체계과 별개로 법적으로 인증 수단이 선택 될 수 있어야 한다. 현재는 전자서명법에 의해 공인 인증 만이 전자 ...
2007/02/27

가능성 확인한 매쉬업 캠프!

지난 2월 25일(일)에 연세대 상남경영원에서 매쉬업 캠프 행사가 열렸습니다. 매쉬업 경진대회 부속행사이긴 하지만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오픈 API에 대한 소개와 매쉬업에 대한 이야기를 공개적으로 하는 행사였습니다. 특히, NHN과 Daum의 API 개발자들이 직접 강의와 매쉬업 프로젝트를 수행한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는 행사였습니다. 하지만, 저는 한 가지 걱정이 있었습니다. 우리 나라에서 과연 매쉬업이라는 측면에서 ...
2007/02/27

왜 매쉬업 인가?

한국을 대표하는 인터넷 기업 (주)다음커뮤니케이션과 NHN(주)가 함께 2007 대한민국 매쉬업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사실 매쉬업 경진대회를 준비한다고 하니 여러분들이 걱정반 기대반이시더군요. 아직 한국에서 외국에 비해 오픈 API의 숫자도 적을 뿐 더러 사용하는 개발자나 협력 사이트들이 많이 적은 상황에서 이 경진대회가 성공할 수 있겠느냐는 걱정이셨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첫 발자국을 떼지 않으면 누구도 가지 ...
2007/02/06

결국 시스템의 문제

스마트 플레이에스에서 제기한 소스 코드 무단 복제에 대한 논의를 보면서 진실을 모르는 블로고스피어의 난상 토론이 과연 타당한 것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아주 점입가경이군요. 저는 저런 식의 문제 제기와 끝 없이 무의미해 보이는 토론이 과연 문제에 바르게 접근해 주게 할 것인가 하는 의구심이 있습니다. (아마 스플의 운영진들도 이번일로 온라인 ...
2007/02/02

야후! 한국에서 배우다. 그러나…

Google이 얼마 전 투자 분석가를 대상으로 향후 서비스 전략을 발표한 데 이어 Yahoo! Analyst Day가 며칠 전 열렸습니다. CEO를 비롯해서 Yahoo!의 경영진들이 총 출동해서 그들의 미디어, 검색, 글로벌, 마케팅 전략에 대한 발표와 Q&A가 이어졌습니다. 188페이지에 달하는 발표 자료를 한마디로 요약 하면, 사용자에게 브라우저 이상의 보다 나은 경험을 제공하는 차세대 컨텐츠 ...
2006/05/22

누가 내 주민 등록 번호를 훔쳤나?

국내 최대 게임 업체인 엔씨소프트의 리니지 명의 도용 사태가 10만 명을 넘어 서면서 사회적인 이슈가 되는 듯 하더니 그 이후 감감 무소식이다. 때마침 대형 ISP 업체에서 흘러나온 것 같은 700만 명 가량의 개인 정보 매매 사건도 별로 충격으로 받아 들여지지 않는 모양이다. 이제는 구글이나 중국 검색엔진에서도 대한민국민의 주민 등록 번호가 ...
2006/04/13

정말 싸이월드는 돈 되나?

어제 저녁 때 SK커뮤니케이션즈(이하, SK컴즈)가 야후!코리아를 인수할 것이라는 보도에 대해 야후!본사가 공식 부인했음에도 물타기 기사가 꼬리를 물고 있습니다. 기사의 진원지인 한국일보는 인수 관계자의 그럴듯한 스토리까지 단독 보도 하면서 마치 사실인양 글을 쓰고 있습니다. 제가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이 기사에서 야후!코리아의 매출액을 비공개라고 도표에 적은 것에 대한 것입니다. 기자가 글을 ...
2006/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