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 2.0

Werner Vogels – 좋은 API 디자인을 위한 6가지 배운 점

지난 AWS re:Invent 행사의 마지막 기조연설을 맡으신 Amazon.com CTO이신 버너 보겔스 박사님이 AWS가 15년간 배운 좋은 API를 만드는 6가지 원칙에 대해 설명해주셨습니다. 매우 짧은 부분이지만, 전체 기조 연설 중에 가장 인상적인 부분이었습니다. 저도 API 구현 및 배포에 대해 관심도 많았고, 10년전에 최악의 오픈 API를 면하려면이라는 글도 쓴 적이 있는데, 버너 보겔스 박사님도 AWS가 ...
2022/01/25

API 이코노미를 살펴보다 (3) 국내 API 활용 현황 및 제언

마지막으로 국내 API 서비스 부분도 괘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몇 가지 주요 트렌드를 살펴 보겠습니다. (글 하단의 Disclamer에도 적혀 있지만, 이 글은 전적으로 저의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의견을 담고 있습니다.) 과거를 돌아 보자면... 2006년에 네이버와 다음이 각각 오픈 API를 공개하고, 개발자 지원 사이트를 개설하면서 부터 국내에 API 활용이 ...
2020/07/29

API 이코노미를 살펴보다 (2) 마이크로서비스 시대 API

2010년대 모바일 시대에 맞추어 클라우드 컴퓨팅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같은 기술 트렌드가 주류가 되면서, 초기 오픈 API/매쉬업 기반 전략들을 모범 사례를 삼아 사내 API 기반 인터페이스 도입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즉, 요즘에는 외부 개발자 대상 오픈 API를 제공하는 것 보다는 사내 아키텍처를 API 통신을 기본으로 하는 마이크로서비스로 바뀌면서 API 활용도가 바뀌고 있다는 ...
2020/07/28

API 이코노미를 살펴보다 (1) 최근 기술 및 사업화 동향

제가 아마존에서 꼭 일해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한 것은 지금부터 15년 전 웹 2.0이 막 부상할 때입니다. 당시 웹 API를 통해 새로운 플랫폼과 생태계를 사업과 접목한 구글, 아마존, 이베이 같은 기업이 닷컴 버블 이후에도 살아남은 이유를 탐구하던 과정이었습니다. 이후, 플리커, 트위터, 페이스북 등 웹 API를 외부로 제공하는 스타트업이 성공 가도를 달리면서 ...
2020/07/27

개발자 비급(祕笈) – 3. 나의 폭망한 프로젝트 답사기

개발자 비급(祕笈) 시리즈는 직장 생활을 하는 모든 분들이 어떻게 하면 개발자의 방식으로 경력 관리, 업무 처리, 프로젝트 관리 등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는 시리즈입니다. 개발자들에게는 자기 자신을 돌아볼 수 있고, 비개발 직군에서는 자신의 경력 방향에 시금석이 되었으면 합니다. 주니어 개발자 시절부터 지금까지 수 많은 신규 서비스 개발 및 개편 프로젝트를 ...
2020/04/17

WWW 30주년 – 최초의 웹 사이트들을 만나자!

오늘이 바로 WWW 3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유럽 입자가속기 연구소인 CERN에서 각기 다른 운영 체제와 시스템을 가진 컴퓨터들 사이에 저장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팀 버너스 리 (Tim Berners-Lee)는 서로 다른 컴퓨터에서 정보를 연결하기위한 통합 구조를 구상했으며 1989년 3월 12일 "Information Management: A Proposal"이라는 제안서를 작성했습니다. 출처: CERN 방문 후기(1) - Microsom 이것이 바로 오늘날 월드와이드웹의 ...
2019/03/13

알파 유저를 위한 AWS 스터디 자료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면 개발자 및 인프라 운영 엔지니어들이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블로거나 웹디자이너 등 일반인들도 AWS 서비스를 쉽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난 4주간 워드 프레스를 자체 서버로 이용하는는 블로거, 포트폴리오 사이트를 운영하는 웹 디자이너, 클라우드를 통한 안정적인 소규모 서비스를 운영하는 스타트업 등 클라우드 기반 웹 사이트 운영에 관심 ...
2015/08/26

Ajax 10주년 : 웹 기술의 미래

Adaptive Path의 공동 창업자인 Jesse James Garrett이 유명한 Ajax : A New Approach to Web Applications라는 글을 통해 리치 웹 기술 및 사용자 경험(UX)에 대해 정의한 지 10년이 되었습니다. JJG의 최초 Ajax 소개 글당시 구글맵이나 지메일, 구글서제스트 같은 웹 서비스의 기술적 바탕을 분석해서 새로운 기술적 접근을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라고 제안하고 ...
2015/02/23

“API 산업은 초기 단계… ” – 미트업 후기

어제 Daum DNA에서 개최한 'API Meetup'에서 해외 API 산업의 주요 리더 두분이 70여명의 개발자들과 함께 API의 현주소와 다양한 이슈들을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행사 내용과 발표 자료 Q&A를 간단하게 요약해 봤습니다! 1. API 경제의 진행 사항 - Steven Willmott - 숫자: 프로그래머블웹닷컴에 11k의 공개 API가 있다지만, 내부 API는 그의 10배로 추정되고 수백만개의 모바일앱의 ...
2014/04/09

2014년 글로벌 API 산업 전망

작년 한해 동안 API 산업에 대한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습니다. API 관리 서비스 회사인 3scale의 CEO인 스티븐 윌모트가 예측한 2014년의 글로벌 API 산업 전망에 대한 글에 대한 요약입니다. 출처: http://www.3scale.net/2013/12/api-predictions-2014/ 윌 모트 대표는 제가 초청을 해서 4월에 한국에 한번 올 예정인데, 그 때 API meetup을 한번 하려고 준비중입니다. 1. API 성장세 지속 * 프로그래머블웹닷컴 오픈 ...
2014/02/13

강의 자료- 오픈 API 및 빅데이터 등

최근에 외부 강의를 통해 많은 분들을 만나는 시간을 늘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제가 회사에서 하는 일인 오픈 API와 연구에 집중하고 있는 Hadoop과 빅데이터 그리고 개인적인 활동인 Mozilla와 모바일 웹 플랫폼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 있답니다. 제가 해왔던 기술 강연 목록은 블로그에 강연자료에 모아두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듯요. 오픈 API: 웹 플랫폼 생태계를 ...
2012/05/14

최악의 오픈 API를 면하려면

Daum의 오픈 API 서비스를 맡고 있는 Channy입니다. DNA 블로그에 오랜만에 글을 쓰는 것 같습니다. 자주 블로그에 오픈 API에 대한 저의 이야기를 올릴 생각입니다. 많은 피드백 부탁 드립니다. HackersNews에서 개발자들에게 어떤 오픈 API가 최악인지 무엇이 가장 골칫꺼리인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더군요. 그 결과 예상외로 페이스북이 1위를 차지했습니다. 웹 개발자들은 버그, 문서의 미비, API 변경이 ...
2011/08/24

새해, 저와 함께 일하실 분을 찾습니다!

벌써 한해가 저물어 가고 새해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2년간의 학업을 마치고 내년 1월 부터 Daum DNALab으로 다시 복귀하게 됩니다. 거의 2년이 지났는데 같은 팀의 같은 자리가 마련되어 있다는 것이 고맙기도 하고 마음이 무겁기도 합니다. 그동안 Daum의 외부 개발자 지원을 해온 우리 팀은 새해 부터는 좀 더 획기적인 변화를 모색할 예정입니다. ...
2010/12/16

개방이 ‘일자리’를 못만든다고요?

며칠 전 Tantek Çelik이 Open Web Foocamp에 참여하면서 쓴 What is the Open Web?이라는 글을 번역해서 공유한 적이 있습니다. 제 블로그 글이 페이스북으로 전달이 되는데, 그 밑에 어떤 분이 간단하게 코멘트를 달아 놓으셨더군요. 그 답글을 보고 약간 황당한 기분이 들었습니다. 웹 업계에서도 꽤 알려져 있으신데다, 양식있는 분이시기 때문에 어떤 ...
2010/10/13

2010 매쉬업 경진대회 시작!

올해도 어김없이 Daum과 NHN이 공동 주최하는 대한민국 매쉬업 경진대회가 열리네요. 네번째를 맞이하는 이 행사는 오픈 API를 이용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이용 사례를 발굴하는 국내 웹 2.0을 대표하는 IT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죠. 매년 국내 주요 인터넷 기업들이 많이 참여해서 실험적인 개발자 행사를 개최하기도 했습니다. 특별히 ETRI,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ETRI 같은 정부 기관들을 주축으로 후원해 ...
2009/12/16

아저씨들의 웹 2.0 수다

정말 오랜만에 아저씨들의 수다에 함께 참여해 보았습니다. 올해 Web 2.0 Summit이 끝나고 나서 Web 2.0과 Web2(Web Squared)의 뒷 이야기와 한국 인터넷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위해 함께 모였습니다. 좌로 부터 황병선 부장(LG CNS), 조산구 상무(KT), 저, 전종홍 선임(ETRI), 허진호 대표(네오위즈 인터넷) 그리고 이찬진 대표(드림위즈) 이렇게 여섯분이 준비도 대본도 없이 모여서 난상 토론을 벌였습니다. 0부 녹화가 ...
2009/11/20

트위터가 웹2.0을 살렸다!

정확히 말하면 팀 오라일리의 Web 2.0 Summit이라는 콘퍼런스를 살렸다는 것이 맞겠죠. 솔직히 작년 웹2.0서밋 행사는 생뚱 맞은 그린 IT와 정치 이야기로 빛을 바랬습니다만 올해는 Twitter 덕분이 그런대로 웹 2.0이라는 이름의 체면 치레는 한것 같네요. Microsoft의 Bing과 구글이 검색을 위한 트위터와의 소셜 피드 공급에 대한 서비스를 발표 했습니다. 또한, 행사 내내 거의 모든 ...
2009/10/26

Web 2.0 Summit: Facebook의 인프라 시스템

둘째날 주목을 끈 발표는 Facebook의 기술 부문 부사장인 Mike Schroepfer의 페이스북의 인프라 구조에 대한 소개입니다. 8분밖에 안되는 짧은 발표지만 웹 서비스 개발 구조 변화에 대한 중요한 점을 이야기했습니다. 3억명의 사용자가 일 10억건의 메시지, 월 2천억건의 페이지뷰를 만들어 내는 세계 2위의 웹 서비스의 기술적 구조를 보는 건 흥미로운 일입니다. 현재 페이스북은 매일 ...
2009/10/23

Web 2.0 Summit: 트위터, MS와 구글 양손잡다

Web 2.0 Summit의 오늘의 소식은 단연 Twitter가 Microsoft의 Bing.com에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제휴를 했다는 것입니다. 야후!에서 10여년 간 일하고 MS로 이직한 Qi Lu 온라인 비지니스 부문 담당 사장은 Twitter 및 Facebook과의 검색 결과 제공 계약 체결에 대한 사실을 밝히고 Twitter 검색에 대한 실제 데모를 보여 주었습니다. 서비스 데모는 http://www.bing.com/twitter에서 직접 볼 ...
2009/10/22

Web 2.0 Summit 2009 지상 중계

글로벌 웹 비지니스 유명 인사들이 총출동하는 Web 2.0 Summit이 올해도 20일부터 3일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립니다. 본 블로그에서 2004년 부터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까지 매년 나온 이야기를 간추리고 있습니다. 올해도 간단하게 지상 중계를 해 드릴까 합니다. 물론 제가 미국에 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만 올해는 아예 중요 세션은 실시간 중계(가입 필요)를 하고 있을 뿐 ...
2009/10/21

오픈 API와 비지니스가 만날 때

지난 9월 23일 국내 대표 소셜 메시징 플랫폼이자 NHN에 인수된 벤처 기업인 미투데이에서 사진 저장소로 이용하던 야후! Flickr에서 me2photo라는 공동 계정을 삭제했다고 합니다. 덕분에 14만장의 사용자 데이터가 없어져 현재 복구를 위한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근데 쉽지는 않은 것 같고 임시적으로 네이버의 포토 서비스로 저장 중이라고 하네요. 이 사건을 계기로 개방과 공유라는 ...
2009/10/13

Twi2me: 트윗을 미투데이로

올해 연초 부터 단문 메시지 서비스인 Twitter를 열심히 쓰고 있습니다. 그전에는 미투데이를 쓰고 있었는데 뭔가 약간 구속된 느낌이었다가 트위터에서는 좀 자유로운 느낌이 듭니다. 미투데이에는 젊은 친구들이 많은데 여기서는 좀 늙은(?) 잘 아는 분들이 많다는 점도 한몫합니다. 근데 미국은 좀 달라요. 힐러리 클린턴 미국무부 장관이 "젊은 애들이 쓰는 서비스라 잘 모르지만 ...
2009/06/26

지도 오픈 플랫폼 힘겨루기

미국 산호세에서 Where 2.0 컨퍼런스 행사가 한창입니다. 2005년 부터 시작한 이 행사는 한해도 빠지지 않고 열리고 있고 저도 2006년에 참석한 적이 있는데 올해는 허민님이 참석해서 소식을 전해 주시고 있습니다. 웹2.0붐이 일어나고 유일하게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지도 플랫폼 서비스는 매년 혁신이 일어나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그만큼 실 세계 데이터를 웹으로 연동하기 위한 ...
2009/05/21

웹 2.0 용어의 죽음?

지난 번에 경제 위기와 벤처 투자 열기가 시들해지고 스타트업붐에 따라 성공한 젊은이들의 흥청망청하는 모습이 꼭 닷컴붐과 닮았었다는 웹 2.0 벤처붐의 종말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 드렸는데요. 테크크런치에서 또 다른 의미로 웹 2.0이라는 용어 자체가 시들해지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왔습니다. 웹 2.0이라는 용어가 들어가면 컨퍼런스도 잘되고 책도 잘 팔리고 심지어 투자도 받기 쉬웠다는 것을 ...
2009/02/15

매쉬업 스키캠프에서 만나요!

국내 오픈 API 사용을 활성화 하고 이를 통한 다양한 창의적 매쉬업 사례를 발굴해 웹 생태계에 도움을 주고자 시작한 '대한민국 매쉬업 경진대회'가 2007년과 2008년에 이어 2009년 대회를 시작 합니다. 국내 양대 포털인 NHN과 Daum이 공동 주관하고 야후!코리아, 한국마이크로소프트가 후원하고 다양한 오픈 API 제공 벤처 기업들이 함께 하는 웹 개발자 및 컴퓨터 전공 ...
2008/12/01

워드프레스 2.6으로 판올림!

이 블로그는 2005년 6월 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오픈 소스 블로깅툴인 워드 프레스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 후 사실 1년 동안 계속 되는 버전 업그레이드를 하다가 2006년 6월 Wordpress 2.0 대로 들어온 이후 거의 업데이트를 하지 않았죠. 귀찮기도 했거니와 2.1 부터 시작된 관리자 화면 UI 변경이 영 익숙해지지 못해서 였는데요. 그러다가 얼마전 Lift ...
2008/11/25

Web 2.0 Summit 2008: 웹이 세상을 만날때

주요 인터넷 업계 인물들이 나오기로 유명한 Web 2.0 Summit 행사가 예년 처럼 2주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렸습니다. 금융 위기를 인한 실리콘 밸리 분위기가 위축된 가운데 오바마 당선이라는 큰 뉴스에 묻혀 버려서 큰 주목은 끌지 못했지만요. 이번 행사의 주제는 "웹 세상을 만나다(Web meets World)"로서 웹2.0이 몰고온 사용자의 적극적 참여가 정치와 에너지 같은 ...
2008/11/17

굿바이! 웹 2.0

제 블로그에서 웹2.0에 대한 언급을 시작한게 2004년 10월이었으니까 어언 4년이 넘었군요. 웹 2.0은 우리에게 웹 서비스와 데이터의 플랫폼화, 일반 대중의 적극적 참여와 개방 문화, 소프트웨어형 웹 서비스와 소셜 네트웍 다양한 화두를 던져주었습니다. 게다가 닷컴 버블에 이은 제 2의 창업과 투자 열기로 실리콘 밸리가 다시 한번 후끈 달아올랐고 플리커, 스카이프, 유튜브 ...
2008/10/13

국내 웹2.0 서비스 로고 2탄!

영문 블로그인 KoreaCrunch를 운영하면서 2006년에 신규 웹 서비스 로고를 모아 본적이 있습니다. 그때만 해도 신규 서비스 벤처 기업이 몇 개 되지 않아서 앞으로 많은 기대를 했던 기억이 납니다. 웹앱스콘 론치패드를 준비하면서 얼마나 많은 신규 서비스가 생겼나 한번 조사해 보고 싶은 생각이 나서 여기 저기 자료를 찾아서 로고 타입을 한번 정리해 봤습니다. ...
2008/10/01

Twitter와 FriendFeed 이야기

Twitter와 FriendFeed 이야기 (2008.8.27) 스코블은 블로그로 돌아올 것인가? (2008.12.25) Facebook과 소셜 검색(2009.8.11) 국내에서는 잘 모르시겠지만 해외에서는 Twitter라는 '소셜 메시징' 서비스가 매우 인기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마이크로 블로그'라고 알려진 Playtalk이나 Me2day의 원조 서비스로 잘알려져 있습니다만 제가 '소셜 메시징'이라고 한데는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저는 웹 2.0을 초고속 인터넷망으로 인해 사람들이 인터넷에 직접 참여하면서 나온 문화적 결과라고 해석한 바 ...
2008/08/27

무료 행사 유감(遺憾) – 글로벌 웹 기술 워크숍

지난 주 목요일 미래웹포럼이 주관하는 '글로벌 웹 기술 워크숍'이 있었습니다. 마침 OECD 장관회의가 끼어 있어 구글 빈트서프 부사장과 모질라 재단 미첼 베이커 의장께서 출국하는 날임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주제 발표에 응해주셨구요. 각 웹 브라우저 벤더에서도 해외 연사를 보내 자사의 글로벌 기술 방향과 한국의 인터넷 환경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었습니다. 특히 CSS ...
2008/06/24

세상 많이 바뀐다! 플랫폼들의 변화

최근 몇 년 동안 컴퓨팅 플랫폼의 변화가 눈에 띄게 바뀌는 군요. 프론트 엔드, 백엔드 거기다 네트워킹에 대용량 처리까지 가세해서 온오프라인이 분간이 안갈 정도로 구름 속을 헤메는 컴퓨팅(Cloud Computing) 환경이 되어 버렸습니다. 좋은 건지 나쁜 건지? 백엔드 플랫폼의 변화 Google Search를 위해 시작된 분산 컴퓨팅 기술이 이제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Hadoop이라는 오픈 ...
2008/05/28

웹2.0 시대의 불편한 진실

(해설) 이 글은 웹2.0이라는 흐름아래 오픈 API, 오픈 소스 지원, 데이터 이동 및 공유 등 '개방'과 '공유'라는 키워드로 이루어 지고 있는 다양한 기술 플랫폼 현상들이 마냥 장미빛 미래를 보여 주고 있지 않다는 불편한 사실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폐쇄된 S/W플랫폼 보다는 진보가 있지만 데이터 플랫폼을 독점하는 기업의 비지니스적 판단에 ...
2008/05/14

외국 서비스가 성공하려면?- Myspace.com

4월 15일 미국 기반 유명 소셜 네트웍 사이트인 마이스페이스 한국어 사이트가 공식 오픈했습니다. 지금까지 블로거 간담회, 개발자 코딩 행사, 강연, 파티, API 컨퍼런스 등 할 수 있고 가능한 것들은 행사의 질을 떠나서 거의 총동원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특히 한국 사이트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주체도 폭스 인터랙티브라는 명확한 실체가 있는데다 주축이 ...
2008/04/17

Google 오픈 API, 숨겨진 목적은?

드디어 Google의 오픈 API 갯수가 50개를 넘었습니다. 2005년에 처음 Google Code 사이트를 오픈 하고 난 후 야금야금 하나씩 공개 하기 시작했는데 정말 많은 데이터 API를 가지게 되었네요. 작년에 Google Developers Day에 이어 올해는 5월에 Goolge I/O: Web Forward라는 자체 오픈 API 행사를 가진다고 합니다. 이틀간 30개가 넘는 세션을 준비하고 있으니 ...
2008/03/26

컨퍼런스 투어 2008

2월 한달을 Future Camp로 매우 바쁘게 시작했는데요. 연초를 맞아서 세 군데 해외 컨퍼런스를 연달이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우연히 정말 가고 싶었던 게 연달아 있어 특별히 시간을 내었습니다. Lift Conference (2월 6~9일, 스위스 제네바) Lift는 올해가 세번째인 참여형 유럽 웹 컨퍼런스입니다. 작년에 Lift 한국 워크샵 이후 Lift Asia를 Daum이 후원하기로 해서 Asia Editorial ...
2008/02/03

FutureCamp 2008, 대화가 필요해!

2008년 한 해 각 분야별로 자신이 생각하는 전망을 발표하는 FutureCamp 2008 행사가 있었습니다. 우리 업계에 있는 15명의 자발적인 참여자들이 플랫폼, 웹 서비스, 웹 문화 등 세 가지 세션에 대해 10분씩 발표하고 30분간 토론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대기자가 140명 까지 몰릴 정도로 인기가 있었고, 실제 현장에 오신 200여분의 업계 관계자 및 학생들의 적극적인 ...
2008/02/03

데이터 이동성(Dataportability) 훈풍 타다

작년 한해 열풍 처럼 다가왔던 소셜 네트워크 시장의 성장은 글로벌 웹 트렌드의 중요한 축이였습니다. 저는 이런 흐름은 인터넷을 '항시' 사용하면서 나오는 '브로드밴드 효과'로 나타나는 사람들의 문화적 행태로 말해왔는데 이미 한국에서도 과거 아이러브스쿨과 싸이월드를 통해 홍역 처럼 치뤘었죠. 문제는 글로벌 시장에서는 시장의 규모로 인해 더욱 플랫폼화 하고 있고, 웹의 정체성에 입각한 ...
2008/01/17

웹 개발자 전상서(前上書)

아래 글은 월간 웹 2008년 1월호에 칼럼으로 게제된 원고의 초본입니다. 다사다년 했던 한 해를 마무리하고 희망찬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었습니다. 지난 한 해는 다양한 신 기술들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격동의 시기였습니다. 웹 개발자들에게는 신기술을 채용해야 할지에 대한 혼란과 새로운 모험이 교차 되는 한 해였습니다. 이는 전 세계적인 웹 기술 변화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
2008/01/03

동영상-‘사용자 참여형 공간 정보 웹’ 강의

지난 번에 참여했던 국토 연구원에서 주최하는 제 11회 GIS 국제 세미나의 전체 동영상이 올라왔네요. 제 발표 자료와 함께 동영상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프리젠테이션이 자료집에 있는 내용이라서 실제 발표 자료와 맞지 않는 군요. 실제 발표 자료를 편집해서 새로 동영상으로 만들었습니다. 아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RSS 구독하시는 분들은 동영상이 안보이실 경우, 직접 글을 방문 ...
2007/11/26

대한민국 오픈 API 다모여라~

오픈 API 쏟아져도 활용 못한다?라는 의견을 불식 시킬 만한 행사들이 다시 시작됩니다. 작년 처음 Daum과 네이버가 공동 개최한 매쉬업 경진대회가 올해도 열리는데 이번에는 야후!코리아, 오픈마루, 옥션,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등 내노라하는 국내 인터넷 기업이 모두 참여합니다. 이들 모두 오픈 API와 개방형 웹 생태계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입니다. 이번에는 내년 1월에 ...
2007/11/20

Payment 2.0 – 사용자 중심 지불 플랫폼

과거에 전자 지불 서비스에 오랫 동안 관여해 왔기 때문에 Payment 2.0이라는 주제에 꽤 관심이 많습니다. 현재 전 세계 개인대개인(C2C) 지불 시장은 PayPal의 높은 철옹성에 도전하는 Google Checkout, Amazon Payments(FPS)로 크게 대별 됩니다. KIPA에서 매월 발간하는 SW 정책 리포트 11월호에서 이번 주제를 다룬다기에 지금까지의 지불 플랫폼과 최근의 변화에 대해 간단히 써 ...
2007/11/03

Web 2.0 Summit 2007 후기

2004년, 2005년, 2006년에 이어 네번째로 열린 웹2.0 서밋에 대한 후기를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작년 처럼 3,200불의 비싼 등록비에 오로지 초대를 통해서만 참가할 수 있는 슈퍼 콘퍼런스로 급부상하여 접근성이 많이 떨어졌지만, 참가한 사람들에게는 현장에서 웹의 변화하는 모습 그 자체를 느끼고 이야기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좋은 경험이 될 것입니다. 물론 처음 갔다온 ...
2007/10/31

사용자 참여 지리 정보 웹 플랫폼: Where 2.0

국토 연구원에서 주최하는 제 11회 GIS 국제 세미나에 The User-participated Geospatial Web as Open Platform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를 하고 왔습니다. GIS를 전공했다는 이유만으로 강력하게 발표 요구를 하셔서 평소에 생각하고 있는 공간 정보 웹 서비스의 변화의 모습을 이야기 하고 왔습니다. 주로 GIS 전공자 특히 공공 부문 관계자들이 많으셔서 웹 종사자 입장에서 전통적인 ...
2007/10/30

오픈API 쏟아져도 활용 못한다?

오늘자 전자신문에 오픈API 쏟아져도 활용 못한다라는 기사가 실렸습니다. 며칠 전 인터뷰 요청에 응했는데 논지는 "한국의 오픈 API 활용은 아직 미진하다."입니다. 서비스 초기에 대부분 5,000회 쿼리 제한 때문에 API 사용을 주저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5,000회를 넘는 경우는 아직까지는 드물기 때문입니다. 최근들어 Ajax API 사용자들이 늘면서 5,000회를 훌쩍 넘어가는 분들이 생기고 있습니다만... 오픈 ...
2007/08/27

Lift, 디지털과 현실의 만남

스위스에서 시작된 참여형 신 기술 및 비지니스 모델 그리로 인터넷 문화의 토론을 위한 Lift Conference가 서울에서 개최됩니다. 2007년 컨퍼런스 이후 한국에 관심을 가지게 된 Laurent Haug이 이번 미니 컨퍼런스를 주관 합니다. Spaces: From Real to Digital라는 주제로 9월 12일(수) 힐튼 호텔에서 열리게 될 이 행사는 Adam Greenfield, Bruce Sterling, 유연석 교수와 ...
2007/08/21

Web 2.0 Machine is using us 한국자막

지난 웹앱스콘 인트로에 보여 드렸던 Web 2.0 Machine is using us의 한국어 자막 버전을 요청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동영상으로 다시 제공 합니다. 본 동영상은 캔사스 주립대의 디지털 인류학 연구실에서 만든 동영상으로 디지털 텍스트의 멋진 진화와 사람을 연결하는 웹2.0의 본질에 대해 잘 이야기 해주는 동영상입니다. 이미 많은 분들이 이 동영상을 보셨을 거구요. 한국어 ...
2007/06/27

격변적 판구조론과 노아의 홍수

이 글은 2006년 11월 발간된 앤드류 스넬링(Andrew Snelling) 박사의 New Answers Book 14장 '격변적 판구조론이 홍수지질학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Can Catastrophic Tectonics Explain Flood Geology)'를 편집 요약한 것임. 스넬링(Andrew Snelling) 박사는 시드니 대학에서 지질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호주와 미국에서 연구기관들에 지질학 연구 고문으로서 일하고 있다. 스넬링 박사는 캘리포니아의 산티(Santee)에 있는 창조과학 ...
2007/06/25

바캠프 서울2 열정의 만남

두번째 바캠프서울 행사가 양재동 Daum 본사에서 열렸습니다. 총 60여분의 업계 주요 오피니언 리더들과 정보 사회 관계자들이 자발적으로 모인 이 행사는 정말 "공유가 얼마나 아름다운 것인지" 몸소 체험할 수 있는 멋진 행사였습니다. 바캠프 서울2는 이전 바캠프와 거의 같은 포맷으로 이루어졌지만 주제는 더 다양해져 영화와 인터넷, 디지털 유산, 크리에티브커먼즈 등 다양한 기술과 사회에 ...
2007/06/05

국내 매쉬업 예제 모음

지난 대한민국 매쉬업 경진대회에 참가한 총 63품의 작품 중에 소스 코드를 공개하는 총 20여편의 참가 작품이 매쉬업 갤러리를 통해 공개되었습니다. http://mashupkorea.com/gallery.html 이곳에서 참가자들의 작품 뿐만 아니라 소스 코드도 다운받으실 수 있으며 향후에도 이 페이지는 보존할 예정이오니 매쉬업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공개된 소스코드는 CC-GPL 라이센스를 적용합니다. 이는 GPL의 조항에 CC가 ...
2007/05/11

국내 웹 생태계 행사들

웹2.0이 국내에 전파(?) 된 이후에 가장 좋아진 것이 "업계에 활발한 커뮤니케이션 문화"가 생겼다는 것입니다. 물론 그 와중에 컨퍼런스나 강의로 돈 버는 것을 비판하는 분도 있지만, 전체 웹 생태계 측면에서는 그러한 활동성이 주는 효과는 매우 높다는 사실을 잊지 말았으면 합니다. 5월과 6월에도 그런 행사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몇 가지만 소개해 드릴까 ...
2007/05/08

Web 2.0 Expo의 한국인들

오늘 부터 샌프란시스코 모스콘 센터에서 Web 2.0 Expo가 열립니다. 아마 수십명의 한국 IT 관련 기업의 사람들이 현장에 가 있는 것 같습니다. 2005년 Web 2.0 Conference에 단지 세 명의 한국인이 있었던 것에 비하면 놀라운 변화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좋든 싫든 많은 사람들이 웹2.0이 준 새로운 시각에 감동을 받은 것은 ...
2007/04/16

links for 2007-01-23

Everything you should know about CSS3 - CSS3 . info CSS3에 대한 각종 구현 정보를 담은 곳. (tags: css3) Dead Pool -Techcrunch 망한 웹 2.0 기업 모음집. (tags: deadpool web2.0)
2007/01/24

links for 2007-01-16

QuirksBlog: New Dutch accessibility law 네델란드에서 만든 웹 접근성 '법'. 웹 표준 개발 방법론을 준수하고 접근성 항목을 필수 사항으로 채택 해서 2011년 까지 정부 기관 웹 사이트를 모두 바꾸도록 강제한 법. 대단함! (tags: accessibility law dutch) Apache 2.0.53 / SSL, PHP 5.0.3, MySQL 4.1.10 on Linux 가끔 서버들 패치하고 업그레이드 할때 필요한 스크립트. (tags: server ...
2007/01/17

OpenID로 답글을 적으실 수 있습니다!

OpenID를 이용해서 답글을 적으실 수 있도록 OpenID WordPress Plugin을 설치했습니다. 지금까지 모든 웹 사이트에 회원 가입을 하고 따로 따로 정보를 넣어야 했다면, OpenID와 같은 Identity 2.0 서비스를 이용하면 자신의 정보를 한곳에서 관리하고 가입된 웹 사이트들은 그 정보를 재사용할 수만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정보 중 일부가 바뀌면 그걸 사용하는 모든 ...
2007/01/17

links for 2007-01-13

Jack Slocum's Blog » DomQuery - A lightweight CSS Selector / Basic XPath implementation YUI 확장으로 개발한 DOM Query 퍼포먼스 테스트 결과 다른 방법 보다 월등한 성능을 보여 준다. (tags: DOM yui library) Tobie Langel - Attribute nightmare in IE getAttribute 사용시 IE에서의 문제점 (tags: attribute IE dom) Introduction to The Solr Enterprise Search Server Lucene을 이용하는 ...
2007/01/14

links for 2007-01-12

Firefox3/Firefox Requirements - MozillaWiki Firefox 3.0 개발 요구 사항 목록 - 북마크 백엔드 교체, MS Infocard, Open ID 지원, PDF 저장 기능, Microformat 지원, 도움말 온라인으로 교체 등등.. (tags: firefox3.0 requirements) Digital Web Magazine - Upcoming Events 올해 있을 각종 웹 기술 컨퍼런스 및 워크샵 목록 : 관심 가는 곳은? Where 2.0, Xtech 2007, (tags: ...
2007/01/13

links for 2007-01-09

Second Life | Open Source: Frequently Asked Questions Second Life Viewer 오픈 소스로 제공한단다. 서버와 시뮬레이터 코드는 yet이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쉽게 오픈 하기 힘들 거다. 만약 그게 오픈 되면 SL에 가치가 있을까? (tags: se opensource secondlife) Digital Web Magazine - Markup as a Craft (X)HTML 마크업을 아릅답게 만드는 21가지 비법 (tags: howto markup)
2007/01/10

links for 2007-01-08

오늘 부터 1일 1포스트를 목표로 Del.icio.us 북마크 포스트를 시작합니다. Web Applications 1.0 ((X)HTML5) Tracker Tool HTML5 스펙 변경 사항 확인 (tags: whatwg html5 spec diff) Mozilla Add-ons :: Add Features to Mozilla Software Mozilla 부가 기능 홈페이지 베타 사이트 (tags: mozilla addon preview) html5lib - Google Code (tags: html5 whatwg parser)
2007/01/09

Ask, 미국형 통합 검색 시도

한국형 통합 검색은 다양한 검색 결과를 한 화면에 보여 주는 것을 이야기 합니다. (물론 사람에 의한 검색 편집도 포함해서죠.) 이러한 한국형 방식에 가장 가까운 검색 서비스가 바로 Ask.com이었습니다. Ask가 이번에 아주 새로운 검색 UI를 선보였습니다. 보다더 한국형 통합 검색에 가까워진 Ask.com 베타를 어제 오픈 햇습니다. 우선 '브리트니 스피어즈'로 검색 한 화면입니다. ...
2006/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