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반젤리스트

천만 사용자를 위한 서버리스 기반 클라우드 아키텍처 구성하기

천만 사용자 아키텍처에 대해 아마 여러분도 한번쯤은 보셨을 것 같은데요. AWS에서 가장 유명하고 오래된 콘텐츠 중에 하나입니다. 지금으로 부터 10년전인 2013년에 처음 소개된 이 방법론은 고전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한 명의 사용자 부터 백, 만, 십만, 백만, 천만 사용자에 이르기까지 인터넷 스케일 서비스의 가용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알려주었습니다. 제 블로그에서도 천만 사용자를 위한 ...
2023/11/17

테크에반젤리스트가 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얼마 전 AI타임즈와 제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인터뷰가 화제의 신종 직업 '테크에반젤리스트'라는 기사로 나갔습니다. 뉴스 기사 대로 요즘은 넓게 Developer Relation라는 업무로 불리기도 하고, '디벨로퍼 애드보케이트' (Developer Advocate)라는 직무명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실제 기사 내용에는 지면 상 요약된 게 많아서, 서면 인터뷰로 드렸던 내용을 좀 더 세부적으로 공유해 드리니, 이 직무에 관심 있는 ...
2020/11/15

천만 사용자를 위한 클라우드 아키텍처, 5년간의 여정

본격적으로 AWS 클라우드 에반젤리스트로 일한 지 만 5년이 되었습니다. 2014년 11월 AWS에 입사한 후, 이듬해 4월 부터 당시 불모지 같았던 클라우드 분야에서 개발자와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기술 전도를 시작했습니다. 가끔 제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한 후일담을 한번 씩 블로그에 올리고 있는데, 오늘은 '기본기를 다지는 콘텐츠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AWS 입사 ...
2020/04/27

클라우드 기술의 5가지 주요 흐름 – 2019년 회고

이제 2019년도 하루 밖에 남지 않았네요! 매년 해왔던 블로그 회고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의 일환으로 이번에는 한해 동안 클라우드 기술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제가 지난 5년간 AWS에서 일하면서, 올해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된 것들을 뽑아 보았는데, 혹시 내년에 여러분의 기술 자산을 채우기 위한 목표를 세운다면 어느 분야에 집중하면 좋을지 실마리가 ...
2019/12/31

AWS re:Invent 2019 비하인드 스토리

클라우드 산업 업계의 최대 행사인 AWS re:Invent 2019가 마무리되었습니다. 6만 5천여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3천개가 넘는 강연 세션이 진행되었으며, 천 여명이 넘는 한국 고객도 함께한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그동안 매일 출시된 AWS 신규 서비스를 요약해 드렸는데, 마지막으로 AWS re:Invent 행사의 한국 고객 지원 및 소감,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 등 뒷이야기를 소개해 드립니다. 한국 ...
2019/12/08

AWS에서의 5년… 글로벌 회사에서 배운 것

11년 정도 일했던 정든 회사 다음(Daum)을 떠나 AWS와 함께한 지 5년이 되었습니다. 인생 첫 영어 인터뷰로부터, 첫 글로벌 회사에서 겪은 새로운 경험이 너무 많다 보니 소회가 남다릅니다. 이직 당시에는 클라우드가 이렇게 대세가 될지도 몰랐고, 워낙 작은 스타트업 같은 회사로 옮기는 터라 이직 했다는 이야기를 외부에 공개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나마 제 근황을 ...
2019/11/01

아마존(Amazon)은 어떻게 시장을 혁신하는가?

지난 5년간 AWS Summit은 국내 최대 IT 행사가 되었습니다. 처음 시작한 2015년에는 사실 자원도 부족했는데, Daum에서 DevOn이라는 개발자 행사를 만들고 운영해 본 경험이 꽤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천 여명으로 시작한 행사가 수 만명의 개발자와 수 백개의 고객사와 클라우드 파트너가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올해 제가 가장 심혈을 기울였던 프로그램이 바로 Amazon Innovation Day입니다. ...
2019/05/11

DevRel은 어떻게 성과를 측정하는가?

작년에 DevRel Tokyo 2018 행사를 초대 받아서 DevRel 성과 측정에 대해 발표를 하고 왔습니다. Developer Relation은 무엇인가?라는 글을 쓴 후에 후기를 쓴다는 게 깜박 잊어버렸네요. 그런데, 행사 주최측에서 발표 영상이 공개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행사 끝난 지 6개월이 넘었는데 빨리도 하네요. ㅎㅎ 저도 덕분에 좀 뒤늦은 후기를 써 볼까 합니다. 행사장에 가니까 일본 ...
2019/01/18

훌륭한 개발 문화의 이면(5) – 소통 비용의 절약: 서로 API로 말하자

효율적인 개발과 운영을 위해서 개발팀 내에서 다양한 의사 소통 수단은 필수적입니다. 이메일, 메신저, 이슈트래커와 코드 리뷰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죠. 우리가 만드는 소프트웨어 혹은 서비스간 소통도 매우 중요합니다. 대개 팀 내 혹은 팀간 서비스간 인터페이스(Interface)는 각양각색입니다. CSV나 엑셀 파일을 필요할 때 메일로 보내 준다거나, 주기적으로 XML 파일을 대량 다운로드 받게 ...
2018/07/30

Developer Relation은 무엇인가?

최근 들어 IT 회사와 제품에 대해 개발자와 커뮤니티가 상호 소통을 통해 지속적으로 좋은 관계를 구축하는 일은 Developer Relation (DevRel), 소위 "개발자 관계 활동"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곳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얼마 전 김범준 CTO님이 올리신 우아한형제들의 Developer Relations을 읽어보면,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기업을 설명하고 홍보하여 좋은 개발자 분들이 같이 할 수 ...
2018/06/13

AWS 클라우드 에반젤리즘 2년을 돌아보며…

AWS 코리아에서 한국 개발자들이 클라우드 기술을 좀 더 잘 배울 수 있도록 개발자 커뮤니티 활동을 돕고 있는 윤석찬입니다. 2015년 5월 9일에 AWS 클라우드 에반젤리스트 활동이라는 글로 정식 인사를 드린 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만 2년이 흘렀습니다. 그동안 국내 클라우드 산업과 이를 통한 개발자들의 삶에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동안 저의 ...
2017/05/09

클라우드 에반젤리스트, 새로운 시작을 위한 6개월…

작년 10월 말 10년간 몸 담았던 다음카카오를 떠나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한 지 6개월이 지났습니다. 9년간 살았던 제주에서 서울로 거주지도 옮기면서 아이들도 서울 생활에 적응해 나가고 있고, 18년이 넘게 국내 토종 기업에만 있다가 완전히 다른 환경에서 적잖이 이직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긴장하면서 보냈습니다. 글로벌 기준에 따라 완전히 다른 업무 방식에 사소한 실수도 하지만, ...
2015/05/01

Daum Developers가 개편 오픈했네요!

2006년에 Daum DNA(Developers Network and Affiliates)라는 브랜드로 오픈 했던 개발자 지원 사이트로서, 만 8년만에 Daum Developers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출발을 하네요. 제가 퇴사 하기 전 연초에 시작해서 마지막으로 진행했던 프로젝트인데, 그 결과가 이제 나와서 반갑네요. 두 달 동안 뒷 마무리를 잘해서 오픈해 준 DNA팀원들에게 고맙습니다. 합병한 후 새 출발을 한다는 의미로 이름만 ...
2015/01/08

“API 산업은 초기 단계… ” – 미트업 후기

어제 Daum DNA에서 개최한 'API Meetup'에서 해외 API 산업의 주요 리더 두분이 70여명의 개발자들과 함께 API의 현주소와 다양한 이슈들을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행사 내용과 발표 자료 Q&A를 간단하게 요약해 봤습니다! 1. API 경제의 진행 사항 - Steven Willmott - 숫자: 프로그래머블웹닷컴에 11k의 공개 API가 있다지만, 내부 API는 그의 10배로 추정되고 수백만개의 모바일앱의 ...
2014/04/09

다음 오픈 API 사용량, 월 3억건 넘다!

제가 하는 업무 중에 큰 영역을 차지하는게 바로 다음의 데이터를 밖에서도 잘 활용하게 개발자용 API를 제공하는 건데요. 2007년 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해서 벌써 7년째 해오고 있습니다. 국외의 대형 인터넷 플랫폼 회사의 트래픽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그래도 꾸준히 성장해가고 있습니다. 다음 오픈 API 사용량, 월 3억건 넘다 “지금까지 PC 기반의 오픈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
2013/12/04

2012년 Daum DNA 에반젤리즘 결산

올해는 회사일과 커뮤니티 일 모두 신경을 쓰느라 블로그에 많은 신경을 못 쓴 것 같습니다. 그래도 즐거운 한해 였네요. 간단하게 인포 그래픽을 만들어서 공유할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답니다. 제가 맡은 DNALab팀은 2006년 10월 시작된 이래 6년간 끊임없이 다음의 개방 플랫폼 개발과 외부 지원 및 협력을 해 온 장기 비전을 가진 조직입니다.  특히, ...
2012/12/30

우리에게 스타 개발자는 없는가?

며칠 전 블로터닷넷에서 우린 왜 스타 개발자가 없나?라는 대담 기사를 실었습니다. 세 분 모두 개인적으로 알고,좋아하는 분들이라서 즐겁게 읽었습니다. 개방형 웹의 미래와 네이티브 앱 마켓에 대비한 유연한 대응이 될만한 하이브리드앱에 대한 전략 또한 동감합니다. 이런 분야에서 앞서서 세 분이 하는 노력에도 감사를 드립니다. 그와 함께 나온 이야기가 바로 국내 웹 개발자 생태계와 ...
2011/06/16

새해, 저와 함께 일하실 분을 찾습니다!

벌써 한해가 저물어 가고 새해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2년간의 학업을 마치고 내년 1월 부터 Daum DNALab으로 다시 복귀하게 됩니다. 거의 2년이 지났는데 같은 팀의 같은 자리가 마련되어 있다는 것이 고맙기도 하고 마음이 무겁기도 합니다. 그동안 Daum의 외부 개발자 지원을 해온 우리 팀은 새해 부터는 좀 더 획기적인 변화를 모색할 예정입니다. ...
2010/12/16

Daum DNA 에반젤리스트 구인

Daum 개발자 네트워크(DNA)를 이끌 에반젤리스트를 찾고 있습니다. Daum의 오픈 API 플랫폼 운영과 외부 개발자 지원을 주 업무로 하고 사내 개발자 조직과 협업을 하는 일을 하게 됩니다. 이제 주요 웹 서비스 업체에는 개방 플랫폼 조직과 외부 파트너 및 개발자와 커뮤니케이션 하는 에반젤리스트가 낯설지 않게 되었습니다. 4년 전 시작할 때와 비교해서 꽤 많이 ...
2010/05/19

Daum 로드뷰 API + OAuth + 구인

2006년 부터 3년간 몸담았던 다음 개발자 네트워크(Daum DNA)가 드디어 개편을 단행했습니다. 오픈 API 개발자와의 소통 강화를 위해 phpBB 포럼을 좀더 친화적인 게시판으로 대체하고 Daum 아이디 기반으로 바꾸어 제공했구요. 워드프레스 기반 블로그를 티스토리로 변경했습니다. 특히, 약점으로 지적되던 검색을 강화해서 기술문서, 게시판, 블로그 내용을 한꺼번에 검색할 수 있습니다. 복잡하지 않고 깔끔해 좀 더 ...
2010/04/06

오픈 API와 비지니스가 만날 때

지난 9월 23일 국내 대표 소셜 메시징 플랫폼이자 NHN에 인수된 벤처 기업인 미투데이에서 사진 저장소로 이용하던 야후! Flickr에서 me2photo라는 공동 계정을 삭제했다고 합니다. 덕분에 14만장의 사용자 데이터가 없어져 현재 복구를 위한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근데 쉽지는 않은 것 같고 임시적으로 네이버의 포토 서비스로 저장 중이라고 하네요. 이 사건을 계기로 개방과 공유라는 ...
2009/10/13

Daum 항공사진 새 지도 API 공개

오랫동안 기다려 온 Daum의 새 지도 API가 오픈 하였습니다. 이번에 오픈한 지도 API 버전 2.0은 많이 기다리시던 전국 항공 사진을 추가하고, 일반 지도의 그래픽도 개선 했습니다. 타사 API의 경우 위성 사진을 주로 서비스 하고 있으나, 전국 항공 사진을 고해상도로 지원 하게 됨에 따라 아마 가장 상세한 지도 API가 되지 않을까 ...
2009/07/22

네이버 개발자 센터 오픈을 축하합니다!

지난주 토요일에 NHN에서 금요일 사내 개발자 컨퍼런스이 이어 DeView 2008이라는 외부 개발자 대상 기술 행사를 열었습니다. 이 행사에서는 네이버에서 지금까지 준비해 왔던 개방형 기술 전략에 대한 실행 결과와 공개할 수 있는 내부 기술 일부를 보여주었습니다. '네이버 개발자 센터(이하, NDC)'는 이 행사의 결과물의 총집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네이버 오픈 API를 확대 ...
2008/11/24

다음 지도 플랫폼이 시작된다!

제가 몸 담고 있는 회사에서 지난 주 토요일 제주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다음의 고해상도 항공 사진(Sky View) 및 실사 거리 사진(Street View)에 대한 서비스 데모와 함께 향후 사용자 기반 위치 콘텐츠 연계와 지도 플랫폼 비지니스에 대해 공식 발표했습니다. 다음, 신규 지도 서비스 론칭 및 비전 발표 다음, '지도' 그려 1위 탈환 ...
2008/11/17

Daum DevDay에서 만난 사람들

작년에 진행한 밤샘 코딩 행사였던 DevNight의 형식을 그대로 낮시간으로 가져와서 지난 주 3월 29일에 Daum 개발자의 날을 진행했습니다. 이번에도 50여명 정도 되는 학생 및 직장인 개발자들이 참석 했는데, 비 내리는 토요일 하루를 코딩으로만 함께 했습니다. 실제 코딩 할 수 있는 시간은 짧았지만 오픈 API를 이용해서 19개의 프로젝트 결과물이 나왔습니다. ...
2008/04/02

개방형 플랫폼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 Daum DNA의 도전

꽤 오랫동안 준비해온 Daum 개발자 네트워크(DNA)사이트를 공개했습니다. 회사의 사내 기술 전략 업무를 꽤 오래 해 오긴 했지만, 외부에 대고 공식적으로 이야기를 하는 것은 이게 시작이 아닐까 합니다.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외부 개발자와 소통 할 수 장소가 되었으면 합니다. 특히 여러 사내 개발팀이 협조해 주어서 오픈 API도 같이 공개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
2006/11/01

Technology Evangelist를 모십니다

Daum에서 기술 전도사(Technology Evangelist)를 모십니다. 플랫폼 회사가 아닌 웹 서비스를 하는 업체에서 기술 전도사란 직함이 생소하기는 합니다만 최근에 동향을 보면 그렇지도 않은 것 같습니다. Apple Evangelist로 처음 활동을 했던 Guy Kawasaki를 비롯해서 초기의 기술 전도사들은 주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체에서 자신들의 플랫폼 기술을 전파하고 외부 개발자를 지원하는 일을 주로 해왔습니다. 얼마 전 ...
2006/07/12

Open or Closed API Model? web2con 둘째날 오후

Amazon Web Sevices의 에반젤리스트인 Jeff Barr와 야후!개발자 네트워크를 맡고 있는 Toni Schneider를 포함한 패널이 참석한 세션은 어제 워크샵에서 이야기 되었던 Open API의 개방성에 대한 것을 주제로 삼았습니다. Toni는 야후!가 인수한 Oddpost의 전 CEO이기도 했습니다. Amazon과 Ebay는 이미 웹서비스를 통해 자신들의 서비스 플랫폼에 개발자 네트웍을 성공적으로 꾸리고 운영해 오고 있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
2005/10/07

윤석찬- 웹표준의 전도사 파이어폭스로 말하기 (월간 웹 인터뷰)

웹 디자이너들이 즐겨 보는 잡지인 월간 w.e.b (웹)에서 인터뷰 요청이 와서 즐거운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Mozilla 커뮤니티 활동과 Firefox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국내 웹 표준 환경 및 웹 디자이너나 UI 개발자에게 바라는 점을 이야기했고, 잘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인터뷰 텍스트를 웹에서 찾을 수 없어 여기에 발췌합니다.) 여러분들도 한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
2005/09/24

Mozilla 및 웹 표준 관련 외부 활동

Mozilla 프로젝트에 관여 하면서 자연히 오픈 소스와 웹 표준 관련해서 작년 부터 여기 저기에 불려 다니고 있습니다. 파이어폭스의 유명세에 힘입은 덕도 있지만, 국내에서도 웹 표준에 대한 관심이 늘어 나고 있다는 증거일 겁니다. 개인적으로 외부 활동을 즐겨 하는 체질은 아니지만 웹 표준이라는 이름을 달고 부르는 곳은 마다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일종의 ...
2005/07/01

개발자의 마음을 사는 新전략

며칠 전 구글랩(Google Labs)에서 재미있는 사건이 있었다. 구글랩 첫화면에 Google X라는 프로젝트가 선보인 것이다. Google X는 구글의 심플한 홈페이지를 Mac OS X의 독(dock)을 구성하는 돋보기 효과를 이용해서 만든 것으로 그림 파일 2개와 자바스크립트만을 이용하여 플래쉬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인터페이스를 선보인 것이다(Google X 미러 페이지). 그 프로젝트는 블로거들의 입을 타고 ...
2005/03/24

웹표준 에반젤리스트 – 월간 웹 1월호 인터뷰

월간 w.e.b이라는 디자인 잡지와 인터뷰를 했다. 파이어폭스에 관심을 많이 가지신 남원근 편집장님이 회사로 직접 오셨다. 파이어폭스에서 관심이 자연스럽게 웹 표준으로 옮겨 갔다. 웹 표준을 준수하는 브라우저임에도 우리나라 웹 사이트가 제대로 보이지 않거나 동작하지 않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모질라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된 계기, 그간 진행 사항 그리고 비 표준 사이트의 문제와 해결 방법에 ...
2005/01/04

나와 Mozilla 프로젝트

어제 올린 글에 대해 많은 블로거들이 많은 관심을 보여 주셨습니다. 연속해서 자기 자랑 같을 이런 글을 올려도 될지 모르겠으나 이 글은 한달 전에 써 둔 것이고 언젠가는 그동안 한글 모질라 프로젝트를 이끌고 오셨던 분들에 대한 기념을 해야 겠다고 여겨서 적은 글이니 아무쪼록 이해 부탁 드립니다. 내가 모질라 프로젝트와 인연을 맺은 것은 ...
2004/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