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20년간 AWS 블로거이셨던 Jeff Barr를 만나다! [인터뷰 전문]

2004년에 AWS News Blog를 시작하고, 20년간 3천여개가 넘은 블로그를 작성해 오신 AWS 최고 에반젤리스트 (Chief Evangelist)인 Jeff Barr 부사장님과의 AWS Summit Seoul 온라인 대담 영상입니다. AWS의 시작과 주요 서비스, 그리고 클라우드를 시작하는 개발자들에게 주는 공부 방법, 경력 개발 방법에 대한 인터뷰 전문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IO1zQFpg7U Q: 안녕하세요. Jeff 간단히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차니님,초대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2025/01/10

AWS 입사 10주년, Firefox 20주년, 한국 웹 30주년…

올해는 기념해야 할 것들이 많은 해인 것 같네요. AWS 입사 및 AWS Lambda 출시 10주년 우선 지난 11월 1일이 AWS 입사 10주년이었습니다. 마침 AWS CommunityDay 행사 뒷풀이에서 AWS 강의실 상운님을 비롯해 AWSKRUG 리더분들에게 깜짝 축하를 받았습니다. 축하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고, 늘 첫날(Day 1)의 초심으로 앞으로도 함께 성장해 나갔으면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vVru1Tu94w 마찬가지로, 올해는 ...
2024/12/09

5분만에 알아보는 생성형 AI 서비스

최근에 AWS에서 선보이는 생성형 AI 서비스를 5분만에 간단히 알아보는 시리즈 영상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Amazon Bedrock Studio Amazon Bedrock Studio는 개발자 환경을 설정하고 사용할 필요 없이 Amazon Bedrock 모델과 기능을 사용하는 앱을 쉽게 프로토타입화할 수 있는 웹 앱입니다. 예를 들어, Amazon Bedrock을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도 Anthropic Claude 모델로 프롬프트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
2024/08/29

생성형 AI를 기반한 새로운 앱 개발 방식은?

AWS Summit도 잘 마무리되었고, 개인 유튜브 채널 업데이트도 할 겸 짧은 개념 동영상을 하나씩 올려보려고 합니다. 먼저 생성형 AI 분야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검색 증강 생성(Retrieval-Augmented Generation)과 Amazon Bedrock, Amazon Q 서비스에 대해 간략히 소개합니다. 우선 생성형 AI가 제공하는 파운데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업무 및 개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AWS ...
2024/06/27

플랫폼 엔지니어링(Platform Engineering)이란 무엇인가?

플랫폼 엔지니어링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시대에 제품 개발팀의 서비스 구현을 가속화하기 위해 셀프서비스 기능을 가진 툴체인과 워크플로를 플랫폼으로서 제공하는 분야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KkQwkmNP70&list=PLVKMvBGg2tCfrIhMQ-5dKcUiPhIPdb6td&index=13 플랫폼 엔지니어링의 개념 플랫폼 엔지니어링은 데브옵스와 신뢰성 엔지니어링과 달리 공통 인프라 세팅과 보안 준수 등 중복되는 영역을 제거하여 개발자 도구를 제공합니다. 과거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는 개발 팀과 운영 팀이 분리되어 있었으나, 클라우드가 대세가 되면서 ...
2024/06/10

생성형 AI 어디까지 왔을까? – AWS Summit 2024 요약

매년 열리는 AWS Summit Seoul 행사는 클라우드 뿐만 아니라 최신 IT 기술이 어디까지 왔는지 알 수 있는 국내 최대 IT 행사가 되었습니다. 올해는 무엇보다도 생성형 AI (Generative AI) 기술이 중요 화두로 떠 올랐는데요. 그 준비 여정을 한번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우선 5월 16일과 17일 양일간 총 강연 숫자가 150여개 정도 ...
2024/05/22

아마존의 ‘프리미티브’ 서비스 전략 (2023년 주주 서한 中)

지난 주 Amazon CEO인 앤디 제시가 발간하는 2023년 주주들에게 보내는 편지가(한국어 번역본) 공개되었습니다. 이 편지는 매년 전체 사업을 회고하고, 향후 투자 및 계획을 진솔하게 밝히는 문서로 유명합니다. 아주 긴 문서이지만, 아마존 비지니스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참고해 볼만 합니다. 이 편지 내에는 특이하게 아마존의 사업이 돌아가는 공통 원리와 철학을 설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2024/04/15

The Frugal Architecture – 알뜰한 아키텍처를 위한 7가지 원칙

지난 AWS re:Invent 2023에서 아마존닷컴 CTO이신 Werner Vogels 박사님의 기조 연설은 다른 해보다도 더 인상적이었습니다. 그의 기조연설은 항상 특정 주제를 가지고 기술적인 통찰력을 주는 것으로 유명한데요. 올해는 The Frugal Architecture를 위한 7가지 원칙을 제시해 주셨습니다. 여기서 Frugality라는 단어는 아마존 리더쉽 원칙에도 나오는 말로서 우리말로 옮기자면, "검소함" 혹은 "알뜰함" 즉, 낭비하지 ...
2023/12/26

클라우드 커뮤니티에서 성장하기

이 글은 AWS re:Invent 2023에서 발표한 컨테이너 및 서버리스 개발자들의 클라우드 여정이라는 발표 중, 클라우드 커뮤니티에서의 성장이라는 첫 발표 주제를 글로 표현한 것입니다. 더 자세한 것은 아래 발표 영상을 참고해 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gdqgk17T2Xw&list=PLVKMvBGg2tCfrIhMQ-5dKcUiPhIPdb6td&index=1 오늘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주제는 “클라우드 커뮤니티에서의 성장"입니다. 1980년대 이후, 우리가 아는 많은 소프트웨어 기술들은 사실 커뮤니티에 의해 성장해왔다고 해도 ...
2023/12/13

AWS re:Invent 2023 준비하기 – 블로거 편

이 글은 Jeff Barr (AWS 에반젤리즘 부사장)이 쓰신 The Road to AWS re:Invent 2023를 한국어로 번역(편집)한 것입니다. 2020년 부터 AWS News Blog팀의 일원으로서 매년 리인벤트 행사를 함께 준비해오고 있습니다. 그 과정을 담은 것이라 즐겁게 읽으면서도 몇 가지 점은 새롭게 깨닫게 됩니다. 올해도 80개가 넘은 블로그 글이 한 주안에 쏟아질 텐데, ...
2023/11/20

천만 사용자를 위한 서버리스 기반 클라우드 아키텍처 구성하기

천만 사용자 아키텍처에 대해 아마 여러분도 한번쯤은 보셨을 것 같은데요. AWS에서 가장 유명하고 오래된 콘텐츠 중에 하나입니다. 지금으로 부터 10년전인 2013년에 처음 소개된 이 방법론은 고전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한 명의 사용자 부터 백, 만, 십만, 백만, 천만 사용자에 이르기까지 인터넷 스케일 서비스의 가용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알려주었습니다. 제 블로그에서도 천만 사용자를 위한 ...
2023/11/17

AWS 클라우드 서비스 이렇게 만들어져요!

15년 전 AWS는 Amazon S3와 EC2 같은 스토리지와 가상서버를 시작으로, 현재 200여개가 넘는 폭넓고도 깊이 있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빌딩 블록인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부터 데이터 분석, 모바일, 미디어 서비스, 인공 지능 등 다양한 기능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필요한 어떤 기능이라도 AWS에서 찾아서 ...
2023/01/27

블로거 리더쉽 원칙

Amazon에서는 14가지 리더쉽 원칙(Leadership Principles)을 기준으로 모든 업무를 진행 합니다. AWS News Blog팀 대장 역할을 하고 계신 Jeff Barr 부사장님이 아마존 리더쉽 원칙에 기준으로 한 AWS News Blog 글쓰기 원칙을 공유해 주셨습니다. 저도 2020년에 AWS News Blog팀에 참여하면서 내부적으로 공유받고 항상 유념하면서 블로그 글을 씁니다. 이 글에서는 해당 번역본과 함께, ...
2023/01/16

AWS코리아 10주년 – 가장 인상 깊었던 기억을 꺼내다!

올해는 AWS코리아 10주년입니다. 10년 동안 AWS 클라우드와 함께한 가장 인상 깊었던 개인적인 기억을 하나씩 꺼내 보았습니다. 여러분은 어떤것이 있는지 #AWSKorea10th 태그로 이야기해 주세요. (몇 분을 선정해서 레어 아이템 SWAG 세트를 보내 드릴께요.) 2012년 5월 - 저와 AWS 클라우드와 첫 인연은 아마존 CTO이신 버너 보겔스 박사님이 내한하셨을 때, AWS한국사용자모임 첫번째 행사를 Daum ...
2022/08/30

온라인 활동 전환과 글로벌 협업 확대 – 2021년 회고

정말 다사다난했던 2021년이 마무리 되고 있네요. 연말에는 늘 회고를 해 왔습니다. 2018년은 커뮤니티, 2019년은 클라우드 기술 예측, 그리고 작년은 AWSKRUG 운영진 분들과 동영상 회고를 해 보았는데요. 올해는 개인적인 회고글을 써 볼까 합니다. (2022년 클라우드 기술 예측은 버너 보겔스 박사님 블로그 참고) AWS에 입사 하면서 가졌던 막연한 꿈 중에 하나가 제가 하는 ...
2021/12/28

Amazon CTO 버너 보겔스의 2022년 이후 기술 예측

이 글은 Amazon.com CTO인 Werner Vogle의 Tech Predictions for 2022 and Beyond 블로그 글의 한국어 번역입니다. 우리는 새로운 기술 변곡점에 도달했습니다. AWS가 15년 이상 전에 클라우드 기술을 개척한 후, 클라우드 인프라는 클라우드의 모든 부분이 지구상의 거의 모든 곳, 심지어 우주까지 도달하는데 까지 발전했습니다. 클라우드 덕분에 한때 공상과학 소설이었던 것이 과학 ...
2021/12/06

천만 사용자를 위한 클라우드 아키텍처, 5년간의 여정

본격적으로 AWS 클라우드 에반젤리스트로 일한 지 만 5년이 되었습니다. 2014년 11월 AWS에 입사한 후, 이듬해 4월 부터 당시 불모지 같았던 클라우드 분야에서 개발자와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기술 전도를 시작했습니다. 가끔 제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한 후일담을 한번 씩 블로그에 올리고 있는데, 오늘은 '기본기를 다지는 콘텐츠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AWS 입사 ...
2020/04/27

클라우드 기술의 5가지 주요 흐름 – 2019년 회고

이제 2019년도 하루 밖에 남지 않았네요! 매년 해왔던 블로그 회고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의 일환으로 이번에는 한해 동안 클라우드 기술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제가 지난 5년간 AWS에서 일하면서, 올해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된 것들을 뽑아 보았는데, 혹시 내년에 여러분의 기술 자산을 채우기 위한 목표를 세운다면 어느 분야에 집중하면 좋을지 실마리가 ...
2019/12/31

AWS re:Invent 2019 비하인드 스토리

클라우드 산업 업계의 최대 행사인 AWS re:Invent 2019가 마무리되었습니다. 6만 5천여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3천개가 넘는 강연 세션이 진행되었으며, 천 여명이 넘는 한국 고객도 함께한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그동안 매일 출시된 AWS 신규 서비스를 요약해 드렸는데, 마지막으로 AWS re:Invent 행사의 한국 고객 지원 및 소감,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 등 뒷이야기를 소개해 드립니다. 한국 ...
2019/12/08

AWS에서의 5년… 글로벌 회사에서 배운 것

11년 정도 일했던 정든 회사 다음(Daum)을 떠나 AWS와 함께한 지 5년이 되었습니다. 인생 첫 영어 인터뷰로부터, 첫 글로벌 회사에서 겪은 새로운 경험이 너무 많다 보니 소회가 남다릅니다. 이직 당시에는 클라우드가 이렇게 대세가 될지도 몰랐고, 워낙 작은 스타트업 같은 회사로 옮기는 터라 이직 했다는 이야기를 외부에 공개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나마 제 근황을 ...
2019/11/01

왜 기술 커뮤니티가 중요할까? -2018년 회고

벌써 연말이네요. 다들 한해를 마무리하고, 내년을 준비할 때죠. 저도 매년 이맘때면 올해를 회고하고,이력서도 정리합니다. 평가나 이직을 위해 하는 게 아니라, 올해 내가 이력서에 적을 수 있을 만큼 가치있고 의미 있는 게 무엇인지 정리해 둘 목적입니다. (예전에 제가 매니저일 때, 연말이면 팀원들 이력서리뷰도 해주고 그랬어요. 여러분도 이력서 정리 한번 해보시길~ 참고. ...
2018/12/27

클라우드 네이티브 컴퓨팅 – Adrian Cockcroft

Written by Adrian Cockcroft * Disclaimer @adrianco의 사진 - 무지개에 의한 굴절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컴퓨팅. Amazon Web Services는 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에 가입했습니다.  저는 앞으로 AWS를 대표하여 CNCF 이사회 멤버로 참여하고, AWS 오픈 소스 팀의 Arun Gupta 와 함께 CNCF 프로젝트 및 워킹 그룹과 기술 협력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활동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설명하기 ...
2017/08/10

AWS 클라우드 에반젤리즘 2년을 돌아보며…

AWS 코리아에서 한국 개발자들이 클라우드 기술을 좀 더 잘 배울 수 있도록 개발자 커뮤니티 활동을 돕고 있는 윤석찬입니다. 2015년 5월 9일에 AWS 클라우드 에반젤리스트 활동이라는 글로 정식 인사를 드린 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만 2년이 흘렀습니다. 그동안 국내 클라우드 산업과 이를 통한 개발자들의 삶에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동안 저의 ...
2017/05/09

아마존 웹 서비스가 10년간 배운 열 가지 – Werner Vogels

Written by Dr. Werner Vogels * Disclaimer AWS의 시작은 10년 전, 3월 14일 Amazon S3 스토리지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지난 10년을 되돌아  보면서, 가장 낮은 가격으로 예측 가능한 성능을 보장하면서도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확장성 높은 글로벌 서비스를 만들고 운영하면서 배운 것은 수백 가지가 넘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척하면서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하는 ...
2016/03/15

re:Invent 100% 즐기기 – Matt Wood

Written by Matt Wood * Disclamar SXSW에서 가장 좋아하는 세션이 바로 'How to Rawk SXSW' 패널입니다. SXSW 인터랙티브가 열리기 하루 전 저녁에 행사를 즐기기 위한 팀과 컨퍼런스에 대한 각종 정보를 다룹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의 주요 컨퍼런스인) 아마존웹서비스의 Re:Invent에 대해서도 비슷한 접근을 해 보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운이 좋게도 매년 Re:Invent 콘퍼런스에 참여했고, 행사가 ...
2015/06/11

클라우드 에반젤리스트, 새로운 시작을 위한 6개월…

작년 10월 말 10년간 몸 담았던 다음카카오를 떠나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한 지 6개월이 지났습니다. 9년간 살았던 제주에서 서울로 거주지도 옮기면서 아이들도 서울 생활에 적응해 나가고 있고, 18년이 넘게 국내 토종 기업에만 있다가 완전히 다른 환경에서 적잖이 이직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긴장하면서 보냈습니다. 글로벌 기준에 따라 완전히 다른 업무 방식에 사소한 실수도 하지만, ...
201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