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 추천사
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 / 박상길 지음 "개발자에게 알고리즘 공부가 필요한가?"라는 주제는 익명 커뮤니티의 단골 토론 주제이다. 누구는 현업에서 그리 필요없다고 하고 누구는 기본기(基本技)로서 갖춰야 한다고 말한다. 다만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것은 소위 FAAMG과 네카라에 개발자로 입사하고 싶다면, 알고리즘 인터뷰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점이다. 여러분이 주니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입사 코딩 ...2020/07/11
웹디자이너를 위한 HTML5
초창기 부터 HTML5를 전파(?)했다는 이유로 최근 2년간 강연 요청 및 책 번역 등 꽤 많은 시달림을 받았습니다만... HTML5의 모든 것과 오픈 콘퍼런스 그리고 실전 HTML5 가이드에 참여하는 것으로 제 역할은 끝났다고 생각하고 일체 응하지 않았답니다. 이제 국내에도 HTML5를 주제로 한 책 뿐만 아니라 스터디 모임, 교육 과정도 나오고 있더군요. 새 술은 새 ...2011/05/24
일본 서점 탐방기 2009
한중일 OSS 포럼의 웹 표준 워킹 그룹 회의 참석차 도쿄에 와 있습니다. 외국에 오면 꼭 서점을 찾게 되는 데, 일본의 경우 가까운 나라이기 때문에 더 관심이 가는 것 같습니다. 2007년 후쿠오카 서점과 2008년 동경 서점을 방문해 봤는데 올해도 어떤 변화가 있는지 궁금해서 시부야에 있는 그 서점을 다시 찾았습니다. 우선 작년에 특징이었던 ...2009/10/19
‘블로그 히어로즈’로 본 10문 10답
수 년간 블로그를 하면서도 늘 블로그가 무엇인지 어떻게 해 나가면 좋을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블로그를 잘 운영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소위 파워 블로거들을 관찰해 봅니다만 솔직히 블로그에 대한 이야기는 가뭄에 콩나듯이 하게 되죠. 그나마 그만님이 링블로그에서 기자 관점에서 블로그를 관찰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나의 블로그 이야기나 ...2008/07/15
동경 IT 서적 탐방기
지난 주말 도쿄 여행 중에 제가 묵고 있었던 시부야 호텔 옆에 꽤 큰 서점이 있더군요. 지난번에 후쿠오카 서점 탐방을 통해 많은 것을 알수 있었기 때문에 올해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궁금해서 서점을 찾았습니다. 우선 각 기술 분야별로 이제 막 뜨기 시작하는 책들이 발빠르게 출간되어 있었습니다. Mobile 2.0, SNS, RSS 마케팅 기법 ...2008/06/02
DOM 스크립트 이벤트 결과 발표
『DOM 스크립트』 출간 이벤트!에 참여해 주신 여러분께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책을 보지도 않고 소개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인데 과감히 추천글을 써주셔서요. 총 30분의 블로거들께서 응모해 주셨습니다. 물론 그 밖에 분들도 많으신데 트랙백을 보내 주신 분들만 대상으로 간단한게 추첨을 했습니다. 총 30분께서 트랙백을 보내 주셨고 그 중 10분을 선정해서 책을 보내 드리겠습니다. 트랙백 ...2007/07/19
『DOM 스크립트』 출간 이벤트!
웹 표준을 기반으로 문서 객체 모델(DOM)과 자바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새로운 방식을 설명한 제레미 키스(Jeremy Keith)의 DOM Scripting이 '다이내믹 웹 표준 사이트를 위한 DOM 스크립트'라는 이름으로 출간 되었습니다. 웹 표준 3종 세트를 통해 국내에 XHTML/CSS을 기반으로 한 웹 제작 방식이 널리 알려지고 많은 웹 표준 웹 사이트들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아직 많은 ...2007/07/13
Head First: CSS & XHTML – 웹2.0 시대의 웹 표준 학습법
이미 웹 표준 3종 세트에서 예고해 드린 대로 한빛출판사에서 Head First: CSS & XHTML - 웹2.0 시대의 웹 표준 학습법이 5월 31일에 출간됩니다. Elisabeth Freeman와 Eric Freeman이 썼고 홍형경님이 번역하였습니다. 이 책에서 때로는 게임을 하고, 퍼즐을 풀며, 미스터리에 빠져들면서 지금까지 전혀 상상해오지 못했던 웹 페이지들을 만들게 될 것입니다. 또한 CSS와 함께 ...2006/05/19
수준별 웹 표준 3종 세트 임박!
이제 국내에도 웹 표준 준수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 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웹 표준을 준수한다"라고 하면 그냥 일반적인 표준 스펙을 잘 지키는 것 뿐만 아니라 구조적 마크업(XHTML)과 표현 및 레이아웃(CSS) 및 사용자 행위 제어(DOMScripting)를 잘 분리하는 고급 홈페이지 구축 방식을 의미합니다. 기존의 방식에 익숙한 사람들이 이러한 홈페이지 구축 방법을 배워서 ...2006/02/26
Ajax 입문 번역본 예약 판매 중!
Ajax에 대한 번역서인 Ajax 입문이 예약 판매에 돌입했다고 합니다. (via 한동훈님 블로그) 이 책은 일본인 타카하시 토시로가 저술한 책으로 Apache Web Services 커미터로 유명하신 티맥스의 이창신님이 번역 하신 책입니다. 책 내용은 목차를 보셔서 아시겠지만 Ajax에서 사용되는 구현 기술에 대한 레퍼런스와 예제로서 기술적 입문을 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사실 ...2006/01/21
실전 웹 표준 가이드의 역사?
좀 늦었습니다만 신현석님, 이성노님, 신정식님과 함께 집필한 실전 웹표준 가이드가 Mozilla 커뮤니티의 웹 개발자 페이지에서 배포 되고 있습니다. 저는 대학때 인터넷을 처음 접하면서 부터 정보의 공유가 얼마나 많은 파급력을 만들고, 사람들에게 선한 영향을끼치는지 경험을 했습니다. 대학교 4학년때 이미 국내 웹 기술 커뮤니티 멤버들과 자원 봉사로 만든 "가자 웹의 세계로"라는 ...2006/01/12
나는 책을 읽는다
나는 책을 읽지 않는다 그 후... 최근 나는 회사를 옮겼다. 그 전의 회사는 내가 매니징 하는 3~4개의 팀이 있는 작은 그룹이었기 때문에, 간편한 커뮤니케이션과 인간적 신뢰, 기술괴 비지니스 리더쉽을 통해 어렵지 않게 업무를 진행할 수 있었다. 지금의 회사는 훨씬 큰 규모에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는 집단이다. 특히 수평적 커뮤니케이션과 ...2004/05/23
나는 책을 읽지 않는다
"저 사람 이상한 거 아니야?" 내가 책을 읽지 않는다고 하면 이렇게 반응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아마 겉으로 표현하지는 않지만, 대부분 속으로 자기 개발에 게으르고, 인격이나 소양에 문제가 있을 거라고 생각할 것이다. 실제로 나는 대학원을 졸업한 후 4~5년간 거의 책을 읽지 않았다. 대학원에서도 공부에 필요한 텍스트북만 읽었었다. 원래는 책벌레 그렇다고 내가 처음 부터 ...2004/05/23
아침형 인간 아무나 하나?에 부쳐
2004년 새해의 화두는 단연 아침형 인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아침형 인간에 대해 처음 들은 것은 작년 10월의 교회 특별 새벽 기도회를 참여 하던 도중 목사님이 새로 나온 신간이라며 신문기사와 함께 소개해 주었을 때 입니다. 물론 새벽기도를 나오는 여러분이 아침형 인간이라는 권고의 말씀 이었지만, 신년이 되자 그 내용은 단연 흥미를 끌게 됩니다. ...2004/01/31
Book Review: Catastrophism
Catastrophism: Asteroids, Comets and Other Dynamic Events in Earth History by Richard Huggett The book is about the PHILOSOPHY of catastrophism, not about "Asteroids, Comets, and other Dynamic Events in Earth History" as the subtitle implies. It is mostly about the currently outmoded theories of the influence of catastrophies on development ...2003/12/22
리눅스 서버 난도질 하기
Hack이란 단어가 있습니다. 북한 "핵"도 아니고 지구안의 "핵"도 아닙니다. "핵킹"할때 쓰는 핵입니다. 대부분의 사람이 이 단어를 보면 일단 나쁜 감정부터 떠오릅니다. 해킹 그거 무서운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해킹은 좋은 의도로 꼼꼼히 살펴보고 문제되는 것을 고쳐 나간다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나쁜 의미의 해킹은 크래킹(Cracking)이라는 용어로 사용하고 ...2003/12/12
블로그와 메모
저처럼 메모를 싫어하는 사람이 없습니다. 회의때도 거의 수첩을 안들고 들어가거나 수첩을 들고 가더라도 나중에 보면 내가 알 수도 없는 내용들이 적혀 있습니다. 그냥 머리에 되새기기 위해 손으로 좀 더 적는 것이죠. 마치 고등학교때 암기 하던 방식으로 말이죠. 그러다가 블로그라는 1인 미디어의 장점을 알게 됐습니다. 즉, 여러 가지 정보 중 내가 ...2003/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