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블로그에서 웹2.0에 대한 언급을 시작한게 2004년 10월이었으니까 어언 4년이 넘었군요.
웹 2.0은 우리에게 웹 서비스와 데이터의 플랫폼화, 일반 대중의 적극적 참여와 개방 문화, 소프트웨어형 웹 서비스와 소셜 네트웍 다양한 화두를 던져주었습니다. 게다가 닷컴 버블에 이은 제 2의 창업과 투자 열기로 실리콘 밸리가 다시 한번 후끈 달아올랐고 플리커, 스카이프, 유튜브 등 급성장 기업들의 대형 M&A와 더불어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 딕닷컴 같은 스타 기업들이 출현했습니다.
특히 웹 2.0 이슈는 다양한 화두를 던져주는 역할을 했고 사람들을 모이게 했으며 혁신 없이 꺼져가던 인터넷 산업에 불을 지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물론 이러한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또 다른 닷컴 거품이 아니냐 마케팅 버즈 아니냐라는 우려가 많았지요.
최근에 이러한 우려가 현실이 되는 모양새입니다. 1996년 촉발된 닷컴버블이 묻지마 투자, 빈약한 비지니스 모델, 자기 모순 혹은 모럴 헤저드라는 내부 요인에 의해 2000년에 급격한 붕괴를 가져왔다면 2004년 시작된 2차 닷컴붐은 미국발 금융 위기로 인한 외부 요인에 의해 꺼져갈 가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웹 2.0 시대 붕괴 신호탄?
TechCrunch의 마이클 앨링턴은 이러한 몇 가지 시그널을 발견했습니다. 우선 2008년 들어 벤처 투자자 혹은 기업들의 투자 회수율이 급격한 저하를 보이고 있다는 점입니다. 인수 합병 및 주식 상장 수가 2007년에 비해 급격한 감소를 가져왔습니다.
특히, 금융 위기 까지 터지자 스타트업에서 감원 바람이 불고 있을뿐 아니라 이베이도 10% 직원 감원을 발표했고 Google 주가 폭락으로 60%가 넘는 스톡 옵션이 깡통이 되었고 Yahoo 주가 폭락으로 22달러라도 MS가 인수해 주길 바라고 있으며 벤처 투자자 회사도 패닉 상태이므로 투자 받은 벤처 기업들은 자산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비용도 절감하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웹 2.0적 도덕적 해이 만연?
게다가 이런 위기 시점에서 실리콘 밸리의 유력 기업에 다니는 20여명의 남녀 커플들이 지중해 연안 키프로스에서 10월 휴가를 보낸 동영상이 공개되어 더욱 파문이 일었습니다. 이 동영상은 유명 IT 블로그에 소개 되자 곧 폐쇄되었으나 유튜브 등에 다시 게재되어 버렸죠. 그것도 “로마는 불타고 사람들은 춤추다”라는 배경음악이 깔린 패러디물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처음 올려진 원래 동영상에는 “20명의 세계 네티즌이 10월 한주 동안 키프로스에서 만나 삶과 사랑과 인터넷을 이야기했다.(Twenty world Internet citizens met in the Turkish Republic of Northern Cyprus in October of 2008 for a week of reflections on life, love, and the Internet.) 라고 되어 있었습니다.
휴가에 간 사람 중에는 Facebook Connect를 만든 Dave Morin와 그의 여자 친구인 Google의 Brittany Bohnet 그리고 Facebook 제품 디자인 리더인 Aaron Sittig, Apple 디자이너인 Jessica Bigarel, WSJ의 Jessica Vascellaro기자 Blip.tv 창업자인 Mike Hudack 등이 들어 있습니다.
휴가 동영상좀 올린 것 가지고 뭐라 그러냐 하실 분도 계시겠지만 마이클 앨링턴은 이들을 팀 키프로스라고 명하고 이 동영상이 과거 닷컴 버블이 붕괴될때 술과 여자로 흥청망청 하던때를 빗대어 알코올 + 판단 미스 + 나쁜 타이밍 때문에 웹 2.0 종말 비디오라고 혹평을 했습니다.
이런 동영상 뿐만 아니라 젊은 벤처 기업가 혹은 인재들이 스톡옵션의 유혹을 따라 구글로 이동 했다가 또다시 페이스북으로 이동하는 모양새도 그렇고 사실 안 좋을 때는 모든 게 안 좋아 보이는 법입니다.
화두로서 불도 꺼진다
게다가 제가 개인적으로 입수한 자료에 의하면 웹 2.0의 진원지인 Web 2.0 Summit 이라는 컨퍼런스 역시 2006년을 정점으로 작년에는 참가 인원이 1/2로 줄었고 올해 11월에는 그 숫자가 더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뿐만 아니라 Web 2.0 Summit과 함께 유럽, 아시아, 북미 등 대륙을 돌아가면서 진행되는 Web 2.0 Expo 중 12월로 예정된 도쿄 행사가 취소되는 등 전반적으로 그 열기는 시들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국내에서는 2006년 초반 컨퍼런스로 인해 불이 확 당겨지긴 했지만 신규 웹 서비스가 닷컴붐 때 처럼 성장하진 못했고, 포털 중심의 인터넷 업계 내부 혁신이 크게 이루어지지도 못했습니다. 하지만, 시민기자, UCC와 아고라, 블로거로 대별 되는 온라인 참여의 질이 높아졌고 인터넷 업계 내 다양한 열린 대화의 창구가 새로 생겼을 뿐만 아니라 개방 서비스 모델의 질적 수준의 향상도 가져왔습니다.
웹 2.0의 붕괴는 곧 인터넷 비지니스의 붕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알아둘 점은 웹은 결코 자신의 혁신을 멈추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구글이나 이베이, 아마존 같은 기업들은 집중화 포털 일색의 닷컴 기업이 붕괴되면서 미래가 암울할 때 태어 났습니다. 따라서 다들 어렵다고 하는 지금 이 때야 말로 차세대 웹에 대해 생각해 봐야 할 때입니다.
게다가 인터넷 산업 주기가 4년마다 바뀌고 있음을 증명해주는 셈인데요. 앞으로 향후 4년간 생존하는 기업이 차세대 리더가 될 것입니다. 2년전이었던 2006년말 웹은 스스로를 견제한다라는 글에서 썼던 예언이 정말 현실화 되고 있는 것일까요?
더 읽어 볼 글
※ Disclaimer- 본 글은 개인적인 의견일 뿐 제가 재직했거나 하고 있는 기업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거나 그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실 확인 및 개인 투자의 판단에 대해서는 독자 개인의 책임에 있으며, 상업적 활용 및 뉴스 매체의 인용 역시 금지함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채널은 광고를 비롯 어떠한 수익도 창출하지 않습니다. (The opinions expressed here are my own and do not necessarily represent those of current or past employers. Please note that you are solely responsible for your judgment on checking facts for your investments and prohibit your citations as commercial content or news sources. This channel does not monetize via any advertising.)
미국경제가 어려워지면서 그 영향이 전분야로 확산되는 중이라 그런지, 확실히 Web 2.0 의 인기(?)도 시들해지는 것 같네요. 다만 경기가 좋았더라면 이 상태가 좀 더 연장되었을 수도 있었을텐데 하는 생각이 듭니다.
도가도비상도 명가명비상명
굿바이! 웹 2.0 이라는 다음 윤석찬 님의 글을 보며 도가도비상도 명가명비상명 이라는 말을 생각났다. 노자 도덕경 1장에 나오는 말인데.. 도를 도라고 말하면 그 도는 도가 아니고, 어떤 사
동영상에 노래 한번 기가막히게 골랐네요. 최근에 힐러리-클린턴 부부가 패러디하기도 했던 소프라노스의 엔딩의 그 노래네요.
화목한 가정의 모습을 모여주면서 파국을 암시하던 그노래 ^_^;;
http://kr.youtube.com/watch?v=shKJk3Rph0E
이거 찍고 힐러리도 낙마했죠;;
웹 분산과 집중의 사이클이라는 윤석찬님의 표가 인상적입니다. 데이터 플랫폼이라고 말씀 주신부분은 각기 분산되어 있는 콘텐츠들의 논리적인 분류를 하는 플랫폼이 되는 것인가요. 어렵네요~! 지식이 짧아;;
그러고보니 영상이 한컷으로 쭉가네요. 리허설 좀 하신듯 ^^
국내는 질적 수준이 부분적으로 좋아졌을지는 모르지만 아직 전성기가 온것은 아닐텐데 벌써 해외는 이렇게까지 변화하고 있나보네요 …
그래도.. 웹2.0의 힘으로… 님의 소중한 글이 저한테까지 읽혀지게 되었답니다. ^^
정주Go의 생각
웹2.0이 정말 소란스럽다가 조용해지는구나…거품이 빠지고 있나보군..
굿바이! 웹 2.0 – Channy”s Blog
웹2.0과 함께 달아올랐던 제 2차 닷컴붐이 다시 사그러들고 있지만 웹 2.0의 붕괴가 인터넷 비즈니스의 붕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구글, 이베이, 아마존과 같은 서비스들 또한 지금처럼 …
석찬님의 글을 구독하는 독자입니다만
제목의 전달내용으로는
석찬님의
“이 블로그의 주요 관심사는 웹 2.0, 파이어폭스, 오픈 소스와 웹 표준입니다. 개인적으로 인터넷 GIS와 사람 중심 시맨틱 웹을 연구합니다”
에서
“이 블로그의 주요 관심사는 파이어폭스, 오픈 소스와 웹 표준입니다. 개인적으로 인터넷 GIS와 사람 중심 시맨틱 웹을 연구합니다”
가 되는듯한 느낌입니다.
‘시맨틱 웹’도 제거하려다 참았습니다.
굿바이란 단어가 주는 영향력은 고려해보시지 않으셨는지..
제가 생각하기론 윤석찬님은 웹2.0전도사로 알고있는데
앞으로 직업을 잃어버린 위치가 되시는건 아닌지 하는 우려가 스칩니다.
마치 신문들의 제목달기 (클릭수를 위한 낙시 제목들..)은 아닌지
개인적인 내용의 글과 영향력을 끼치는 글을 구분해주십사.. 하는 바램이 생깁니다.
“굿바이! 웹 2.0”
이란 말이 우리나라의 제거되지않는 ‘액티브X’들과 더불어 ‘결국 한국의 선택이 옳다?’라는 와전된 전달감을 느끼계합니다.
올리신글을 외국의 사례이지만
우리나라의 사례는 어떤지 어떤 상황까지 와 있는지 파악해서 알려주시면 더 좋겠네요
우려와 안타까움의 마음으로 쓴
두서없는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석찬님. 동영상이 짤린 듯 하네요.
-0-
@pletho, 이 글은 ‘웹2.0’의 buzz적 측면을 다룬 글입니다. 일반적으로 웹 2.0이 가져온 패러다임 변화가 이미 전 세계적인 영향을 끼친 상태에서 망했다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웹2.0이 가져온 영향 아래 웹 비지니스를 하고 있으니까요. 웹2.0으로 한탕하려는 buzz의 측면은 감소될 지언정 실질적으로 개방기술 및 웹 플랫폼화의 대세는 막을 수 없지요.
“웹2.0=웹표준”도 아니고 “웹2.0<>한국 웹”도 아닙니다. 저는 웹 2.0을 ‘웹의 플랫폼화’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많은 정보를 나누고 공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웹2.0의 buzz적 측면과 최근 시맨틱웹을 앞세운 웹3.0을 기반한 buzz적 측면은 경계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주간 블로고스피어 리포트 94호 – 2008년 10월 3주
주간 블로고스피어 리포트 94호 – 2008년 10월 3주 주요 블로깅 : 굿바이! 웹 2.0 : 2008년 들어 벤처 투자자 혹은 기업들의 투자 회수율 즉, 인수 합병 및 주식 상장 수가 2007년에 비해 급격한 감소
굿바이! 웹 2.0 :: Channy’s Blog
참여, 공유, 개방으로 통하여 웹 2.0이 정말 이별을 고하는 것일까요?
오래전에 웹2.0이 소개되었다지만 이제 살짝 이해가 되는데..
이런 저런 생각을 하게 하는 글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 구글, 이미 악해졌다.
2007년부터 나는 구글이 악해졌다, 악해지고 있다는 말을 해왔다. 그런 생각이 들게된 가장 직접적인 동기는 <서울디지털포럼>에서 에릭 슈미트(Eric Schmidt) 구글 회장 & CEO의 특별 연설
web2.0의 끝이란 말에
아쉬움이 많이 남네요.
다음으로 혁명적인 웹의 시대 과연
어떤 시대가 올지 기대해봅니다.
[…] 따라 성공한 젊은이들의 흥청망청하는 모습이 꼭 닷컴붐과 닮았었다는 웹 2.0 벤처붐의 종말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 […]
[…] 굿바이! 웹 2.0 : 2008년 들어 벤처 투자자 혹은 기업들의 투자 회수율 즉, 인수 합병 및 주식 상장 수가 2007년에 비해 급격한 감소함을 들어 웹2.0 거품의 붕괴를 우려하는 글입니다. 어느정도 공감이 가기도 하네요. […]
[…] 굿바이! 웹 2.0 : 2008년 들어 벤처 투자자 혹은 기업들의 투자 회수율 즉, 인수 합병 및 주식 상장 수가 2007년에 비해 급격한 감소함을 들어 웹2.0 거품의 붕괴를 우려하는 글입니다. 어느정도 공감이 가기도 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