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2.0 및 소셜 웹

대학생 시절 인터넷과 웹에 빠져들어 이제는 생업이 되었지만, 웹 산업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웹의 변화를 지켜 보면서 얻은 정보들을 함께 나누기 위한 강의 목록입니다.

강의 동영상

오픈 API: 웹 플랫폼 생태계를 만드는 기술

2012년 5월 KAIST SW 대학원에서 학생 및 교수, 기업 재직자 대상으로 웹 2.0과 플랫폼의 변화 그리고 오픈 API를 활용한 웹 플랫폼 사례에 대한 주제 강의입니다.

스타트업을 위한 성공적인 오픈 API 만들기

2012년 3월 프라이머 엔턴쉽 창업자를 대상으로 웹 2.0과 플랫폼의 변화 그리고 오픈 API를 활용한 성공 플랫폼 활용이라는 주제 강의입니다.

Linked Data 기반 데이터 검색 서비스의 현황과 과제

한국 시맨틱웹 콘퍼런스 2010KRNET 2011에서 발표한 링크드 데이터 기반의 대용량 검색 서비스 개발 문제점과 여러 시도를 다루고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제대로 쓰기

2010년 7월 국내 최초로 개최한 WordCamp Seoul 2010에서 블로거로서 워드프레스 제대로 사용하기 강의입니다.

IT 블로거, 길고 가늘게 가기

2008년 6월 개최된 대한민국 블로거 컨퍼런스에서 IT 블로거로서 어떻게 하면 블로그를 잘 운영할 것인가 하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사용자 참여형 Where 2.0 플랫폼

2008년 6월 국토 연구원에서 주최한 제 11회 GIS 국제 세미나에 The User-participated Geospatial Web as Open Platform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하였습니다.

웹 2.0 주요 기술 트렌드

2006년 2월 국내 최초로 개최한 웹 2.0 콘퍼런스 코리아KRNET 2007에서 발표한 웹 2.0의 주요 기술 소개 및 트렌드 강의입니다. (공개를 허락해 주신 비즈델레에 감사드립니다.)

그 밖의 강의 자료

Daum의 내부 빅데이터 활용 사례

2012년 4월 디지털타임즈 DT 인사이트에서 Daum 내부 Hadoop 기반 Bigdata 분석 사례를 모아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클라우드 기반 시맨틱 웹 검색 사례

플랫폼데이 2010에서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시맨틱 웹 검색 서비스 개발 사례에 대한 발표 자료입니다 .

국내외 소셜 웹 기술 플랫폼 현황 및 전망

2010년 한국정보처리학회 제15회 정보통신응용기술워크숍에서 발표한 국내 소셜 웹 기술 관련 현황과 이슈에 대한 정리 자료입니다.

SNS에서 사용자 상호작용 모델링

2009년 겨울 상하이에서 열린 Asian Semantic Web Conference 2009 워크숍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Modeling User Interactions in Online Social Networks라는 제목으로 국내 SNS 사용자의 형태를 간단히 분석하였습니다.

Geo Service Open API 플랫폼 구축 전략

2009년 한국 GIS학회 공간정보 연구회 정기 세미나에서 발표한 자료로 지도 오픈 API 개발 및 구축에 대한 자료입니다.

매쉬업 동향과 향후 전망

KRNET 2009년에 발표한 자료로서, 웹 2.0과 오픈 API 그리고 매쉬업 서비스의 동향과 전망을 소개하였습니다.

개방형 기술 플랫폼의 현황

KRNET 2008년에 발표한 자료로서, 소셜 네트웍 서비스와 유력 웹 플랫폼 기업들의 자사 플랫폼 개방 사례와 이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식의 진화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전통적인 오픈 데이터 API와 Facebook의 F8과 오픈소셜(Open Social)과 같은 서드파티 플랫폼 그리고 Google App Engine, Amazon Web Services 같은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서비스가 미래 웹 플랫폼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 전망하고 있습니다.

Why not Web 2.0 in Korea?

마이애미에서 열린 Future Web Apps 2008 행사 중 Barcamp Miami에서 발표한 한국에서 웹 2.0이 왜 발전하지 못했나?라는 발표입니다.

개방과 검색 그리고 참여 문화

2008년 Daum 주최 오픈 지식 인사이트에서 발표한 강의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