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술을 Jesse James Garrett이 처음으로 Ajax, A New Approach to Web Applications라는 칼럼에서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 XML)라고 명명 하였습니다. 그 이후 Ajax에 대한 관심이 증대 되고 이를 이용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습니다. Ajax의 중심이 되는 xmlhttp는 원래 IE에만 구현된 기술인데, 사파리와 모질라에서 작년 부터 적용됨과 동시에 W3C의 DOM3 표준안에 추가되었습니다.
Google이 Gmail, Google Groups, Google Suggest 그리고Google Maps 서비스를 오픈하면서 브라우저 호환성을 지킴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매력적인 UI를 선보였습니다. 계속적인 새 페이지 이동이라는 흐름을 가지던 웹 사이트에서 페이지 이동 없이 xmlhttp 라는 내부 통신을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Gmail 분석, Google Suggest 분석, and Google Maps 분석 등을 통해 그들이 어떻게 이 기술을 사용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Ajax의 정의
– standards-based presentation using XHTML and CSS;
– dynamic display and interaction using the Document Object Model;
– data interchange and manipulation using XML and XSLT;
– asynchronous data retrieval using XMLHttpRequest;
– and JavaScript binding everything together.
Ajax 영문 자료:
- Ajaxian.com, Technorati Ajax Tag, Del.icio.us Ajax Tag, O’reilly Ajax Tag
- Building Dynamic Web Applications with AJAX
- Ajax on Rails (onLamp.com)
- Frameworks: Backbase, OpenRico, .NET에서도?
Ajax 한국어 자료:
- Introduction to Ajax (@LikeJazz)
- Ajax 소개자료(PDF) – LikeJazz
- 플릭커(Flickr)는 Ajax로 전환중 (@LikeJazz)
- XMLHttpRequest is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 XMLHttpRequest의 가능성 (@HOLLOBLOG)
Ajax 고려 사항:
더 읽어 볼 글
※ Disclaimer- 본 글은 개인적인 의견일 뿐 제가 재직했거나 하고 있는 기업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거나 그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실 확인 및 개인 투자의 판단에 대해서는 독자 개인의 책임에 있으며, 상업적 활용 및 뉴스 매체의 인용 역시 금지함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채널은 광고를 비롯 어떠한 수익도 창출하지 않습니다. (The opinions expressed here are my own and do not necessarily represent those of current or past employers. Please note that you are solely responsible for your judgment on checking facts for your investments and prohibit your citations as commercial content or news sources. This channel does not monetize via any advertising.)
[…] 요즘 엔지니어사이에서 buzz인 에이잭스(AJAX)와 블로그 시대의 유행어인 소셜 네트워킹(social networking)이 결합해서 버블2.0(a.k.a., 웹2.0)형 벤춰기업들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이런 버블 2.0형 회사들을 보면 몇가지 재미난 현상을 읽을 수 있다.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