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3월 12일 CERN에서 웹이 최초로 태어났으니 올해는 25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단순히 PC와 서버를 벗어나 TV, 스마트폰, 태블릿 및 사물인터넷 단말기에도 웹 기술이 활동되고 우리 삶과 뗄 수 없는 상태입니다. Wired의 웹 25주년 특집 대담에서 웹의 창시자 팀 버너스 리는 앞으로 웹 발전에 중요한 몇 가지를 언급하였네요.
– 출처: http://www.wired.co.uk/magazine/archive/2014/03/web-at-25
(1) Re-decentralisation: 웹 기술은 기본적으로 분산되어 있으나, 동영상,사진, 음악, 게임 및 앱 등 특정 파워에 집중되는 미디어에 대한 분산 기술에 대한 혁신 및 저작권 같은 사회 규제의 변화 필요
(2) Openness: 개방성은 소프트웨어, 플랫폼, 데이터 등에 다양한 혁신을 불러일으키는 방편인데, 웹에서는 표준 기술(Standards)가 중요. 이를 달성할 수 있으면 누구나 낮은 진입 장벽을로 혁신을 달성 가능
(3) Inclusion: 아직 전 세계의 60%는 웹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좀 더 접근 가능한 인터넷, 단말기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람들이 참여를 유도해야 함
(4) Privacy, free expression and Security: 웹이 개방성이라고 모든 정보가 공개되어야 함을 의미하지 않음. 개인 정보의 보호, 정부에 의한 감시 배제, 표현의 자유 등이 중요함.
그 밖에 10명의 인터뷰어들이 각각 주요 기술을 뽑아 주었습니다. 센서나 임베디드 기기 같은 사물 인터넷, 아직 웹을 경험하지 못하는 개발 도상국, 정부의 데이터 공개, 인공지는 기술 및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방면에 통찰력을 주는 칼럼들입니다. TBL이 이끄는 웹재단과 W3C에서 25주년(서양에서는 Quarter가 중요 기점임) 홈페이지를 열고 기념을 할 모양입니다.
– 출처: http://webat25.org/
아울러 우리 나라에 웹이 들어온지가 딱 20년이 되었습니다. 93년 첫 웹 서버가 설치되어고, 94년 KRNET에서 웹 관련 기술 모임이 시작되었으니까요. 저도 학부 3학년인 94년부터 인터넷과 웹을 사용하고, 20년째 이 동네에서 밥을 먹고 있는 중입니다. 전에 약속드린 대로 올해는 20주년을 맞아 여러 활동을 하려고 하는데요.
앞으로 3~4월에 제가 참여하고자 하는 웹 기술 행사들입니다. 여러분도 저와 함께 해 주시면 어떨까요? (2개월 마다 관련 이벤트 정리해서 올릴께요.)
– 3월 14일(금) Mozilla 코드 파티 http://onoffmix.com/event/24986
– 3월 15일(토) HTML5 IMMERSION 강연 http://ejungle.co.kr/seminar/smn_overview.asp?p_no=3350
– 4월 09일(수) WWW2014 웹 개발자 트랙 http://www2014.kr/program/developers-track/
– 4월 10일(목) Daum API Meetup http://daumdna.tistory.com/818
– 4월 11일(금) Firefox 개발자콘퍼런스 2014 http://www.mozilla.or.kr/devcon/2014
– 4월 12일(토) Test the web forward Seoul http://testthewebforward.org/
※ Disclaimer- 본 글은 개인적인 의견일 뿐 제가 재직했거나 하고 있는 기업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거나 그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실 확인 및 개인 투자의 판단에 대해서는 독자 개인의 책임에 있으며, 상업적 활용 및 뉴스 매체의 인용 역시 금지함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The opinions expressed here are my own and do not necessarily represent those of current or past employers. Please note that you are solely responsible for your judgment on checking facts for your investments and prohibit your citations as commercial content or news sources.)
* 이 글의 댓글 일부는 Webmention 도구를 이용하여, 소셜 미디어 공유 반응(Comments, Like, Tweet)을 수집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