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네이버 지도 API와 구글 맵을 활용하여 몇 번의 클릭으로도 나만의 지도 만들기로 지도를 홈페이지에 넣을 수 있습니다. 아래 예제를 한번 보세요.
<iframe id="example" src="http://map.creation.net/getMap?x=262628&y=97504&title=DaumJejuGMC&z=3" width="400" height="300" scrolling="no" frameborder="1"></iframe>
UltraSsaZzang님이 만드신 콩나물지도와 구글맵 연동 샘플을 한번 가져와 봤습니다. (캡쳐 정도로 저작권 위반이 되진 않겠지요?^^) 콩나물을 만드는 회사에 깊이 관여하고 계신 분이라 앞으로 기대 됩니다.
사실 올 8월에 네이버가 지도 API를 오픈 하고 이미지와 Ajax 기반 지도 서비스로 바꾸기에 앞서 콩나물에서 야후!코리아와 이미지 기반 지도 서비스 테스트를 이미 시작하고 있었습니다. 그것도 작년 12월 입니다. 그런데도 크게 변화가 없는 것은 돈 많은 서비스 회사가 아닌 ASP 회사이기 때문에 기존의 ActiveX 기능 중 많은 부분을 포기하기 힘들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콩나물 지도의 프로토타입을 보면 ActiveX에서만 지원 되던 3차원 건물, 거리재기, 면적 구하기 같은 기능도 구현을 하셨네요. 거기에 구글 맵 매쉬업까지... 하하. 다만 결과가 좀 빨리 나왔으면 하는 작은 소망을 가져 봅니다.
더 읽어 볼 글
※ Disclaimer- 본 글은 개인적인 의견일 뿐 제가 재직했거나 하고 있는 기업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거나 그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실 확인 및 개인 투자의 판단에 대해서는 독자 개인의 책임에 있으며, 상업적 활용 및 뉴스 매체의 인용 역시 금지함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채널은 광고를 비롯 어떠한 수익도 창출하지 않습니다. (The opinions expressed here are my own and do not necessarily represent those of current or past employers. Please note that you are solely responsible for your judgment on checking facts for your investments and prohibit your citations as commercial content or news sources. This channel does not monetize via any advertising.)
핫~ 음… 리얼 서비스에 붙인 상태가 아니라서… 서버가 빈약합니다. 그래서 좀 느리죠 ㅠ.ㅠ
이래 저래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 같습니다. 시간 나는 틈틈이 손대서 잘 나오게 만들어봐야겠습니다.
저도 Naver map on Google earth를 만들면서 싸이월드맵, 콩나물 맵도 구글어스 위에 올리려고 했는데 싸이월드맵은 지도의 상세도가 떨어져서 하다가 말았고 콩나물맵은 지도정보의 상세성 면에서는 가장 뛰어난것 같기는 한데 구글맵,네이버맵,싸이월드맵처럼 이미 레벨별 지도 이미지를 랜더링 해서 격자로 잘라놓고 static하게 서비스 하는 방식이 아니라 좌표,이미지크기를 입력받아서 동적으로 생성하는 방식이라 서버에 부하가 갈것 같아서 보류한 상태입니다. 비 activex 기반의 웹기반으로 본격 서비스를 하려면 서버의 부하를 줄이기위해 콩나물맵도 격자구조로 갈 수 밖에 없을것 같네요…
그리고 제가 작업하면서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은 Web 2.0 시대를 맞아 OpenApi공개등을 통한 개방성을 통한 다양한 컨버젼스서비스가 대세이지만 알고보면 별것 아닌데 기업이나 개인이나 정작 구현에 도움이 되는 관련기술 공개는 꺼리고 공개한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사용폭을 제한해서 자유롭고 다양한 파생결과물이 나오는걸 힘들게 한다는 점입니다. 진정한 Web 2.0시대가 오려면 국내의 이런 풍토 부터 바뀌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오픈 API로 가기위해서는 갖춰야 하는 서비스의 오픈을 위한 개발 비용과 시스템을 운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서버 구축 비용이 굉장히 큰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는 그 컨텐츠에 대한 오픈이 과연 자신에게 어떤 도움이 될것인지에 대한 확신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기업의 성패를 좌우할 만한 일이기 때문에 오픈 API는 쉽지 않은 결정이 되겠죠.
네이버 같이 자신의 기술이라기 보다는 다른 회사의 데이터를 쉽게 구매해서 서비스를 오픈해버리는 형태라면 자본력이 결국 오픈 API시장을 장악하는 아주 아이러니한 상황을 만들어 낼 수도 있죠.
결국 지도위에 자신들이 원하는 광고나 컨텐츠들을 덕지 덕지 발라가면서 돈을 벌어댈 가능성이 농후하죠. 무조건적인 오픈 API에 대한 제공을 요구하는 것은 좀 무리일 듯 합니다.
http://worldtourmap.com/
구글맵을 이용한 여행정보 지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