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2.0
블록체인판 Web3 열풍 속 현실적 반론

2022/01/21
소프트웨어 (SW) 개발 경험이 먼저다

2021/07/13
훌륭한 개발 문화의 이면(5) – 소통 비용의 절약: 서로 API로 말하자

2018/07/30
차니의 강의 동영상 및 자료 총정리
지난 주에 블로그 전체에 대해 주제별 분류를 하고, 이번 주에는 제가 2003년 부터 외부 강연 활동을 시작하면서 관심 있는 주제별로 한 주요 강의 동영상 및 강의 자료를 모았습니다. 조금 오래된 자료일 수도 있겠지만, 어떤 분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다만 2008년 부터는 가급적 유료 대중 콘퍼런스 강의를 삼가고, 무료 ...2011/06/28
아저씨들의 웹 2.0 수다
정말 오랜만에 아저씨들의 수다에 함께 참여해 보았습니다. 올해 Web 2.0 Summit이 끝나고 나서 Web 2.0과 Web2(Web Squared)의 뒷 이야기와 한국 인터넷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위해 함께 모였습니다. 좌로 부터 황병선 부장(LG CNS), 조산구 상무(KT), 저, 전종홍 선임(ETRI), 허진호 대표(네오위즈 인터넷) 그리고 이찬진 대표(드림위즈) 이렇게 여섯분이 준비도 대본도 없이 모여서 난상 토론을 벌였습니다. 0부 녹화가 ...2009/11/20
웹 2.0 용어의 죽음?
지난 번에 경제 위기와 벤처 투자 열기가 시들해지고 스타트업붐에 따라 성공한 젊은이들의 흥청망청하는 모습이 꼭 닷컴붐과 닮았었다는 웹 2.0 벤처붐의 종말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 드렸는데요. 테크크런치에서 또 다른 의미로 웹 2.0이라는 용어 자체가 시들해지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왔습니다. 웹 2.0이라는 용어가 들어가면 컨퍼런스도 잘되고 책도 잘 팔리고 심지어 투자도 받기 쉬웠다는 것을 ...2009/02/15
웹 오스카상, The Crunchies 2008
지난 토요일 오후(한국시간)에 실리콘 밸리 업계 관계자들이 총출동 한 가운데 작년에 이어 두번째로 The Crunchies 2008 이라는 시상식이 열렸습니다. 2008년 한 해 동안 주목할 만한 분야별 웹 서비스와 기술을 선정하는 것으로 웹 서비스계의 오스카상이라고 불릴만 하죠. 행사 주최자인 TechCrunch를 비롯한 주요 IT 블로그 및 벤처 캐피털 관계자들을 비롯해 Facebook의 ...2009/01/12
워드프레스 2.6으로 판올림!
이 블로그는 2005년 6월 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오픈 소스 블로깅툴인 워드 프레스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 후 사실 1년 동안 계속 되는 버전 업그레이드를 하다가 2006년 6월 Wordpress 2.0 대로 들어온 이후 거의 업데이트를 하지 않았죠. 귀찮기도 했거니와 2.1 부터 시작된 관리자 화면 UI 변경이 영 익숙해지지 못해서 였는데요. 그러다가 얼마전 Lift ...2008/11/25
네이버 개발자 센터 오픈을 축하합니다!
지난주 토요일에 NHN에서 금요일 사내 개발자 컨퍼런스이 이어 DeView 2008이라는 외부 개발자 대상 기술 행사를 열었습니다. 이 행사에서는 네이버에서 지금까지 준비해 왔던 개방형 기술 전략에 대한 실행 결과와 공개할 수 있는 내부 기술 일부를 보여주었습니다. '네이버 개발자 센터(이하, NDC)'는 이 행사의 결과물의 총집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네이버 오픈 API를 확대 ...2008/11/24
Web 2.0 Summit 2008: 웹이 세상을 만날때
주요 인터넷 업계 인물들이 나오기로 유명한 Web 2.0 Summit 행사가 예년 처럼 2주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렸습니다. 금융 위기를 인한 실리콘 밸리 분위기가 위축된 가운데 오바마 당선이라는 큰 뉴스에 묻혀 버려서 큰 주목은 끌지 못했지만요. 이번 행사의 주제는 "웹 세상을 만나다(Web meets World)"로서 웹2.0이 몰고온 사용자의 적극적 참여가 정치와 에너지 같은 ...2008/11/17
굿바이! 웹 2.0
제 블로그에서 웹2.0에 대한 언급을 시작한게 2004년 10월이었으니까 어언 4년이 넘었군요. 웹 2.0은 우리에게 웹 서비스와 데이터의 플랫폼화, 일반 대중의 적극적 참여와 개방 문화, 소프트웨어형 웹 서비스와 소셜 네트웍 다양한 화두를 던져주었습니다. 게다가 닷컴 버블에 이은 제 2의 창업과 투자 열기로 실리콘 밸리가 다시 한번 후끈 달아올랐고 플리커, 스카이프, 유튜브 ...2008/10/13
국내 웹2.0 서비스 로고 2탄!
영문 블로그인 KoreaCrunch를 운영하면서 2006년에 신규 웹 서비스 로고를 모아 본적이 있습니다. 그때만 해도 신규 서비스 벤처 기업이 몇 개 되지 않아서 앞으로 많은 기대를 했던 기억이 납니다. 웹앱스콘 론치패드를 준비하면서 얼마나 많은 신규 서비스가 생겼나 한번 조사해 보고 싶은 생각이 나서 여기 저기 자료를 찾아서 로고 타입을 한번 정리해 봤습니다. ...2008/10/01
Twitter와 FriendFeed 이야기
Twitter와 FriendFeed 이야기 (2008.8.27) 스코블은 블로그로 돌아올 것인가? (2008.12.25) Facebook과 소셜 검색(2009.8.11) 국내에서는 잘 모르시겠지만 해외에서는 Twitter라는 '소셜 메시징' 서비스가 매우 인기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마이크로 블로그'라고 알려진 Playtalk이나 Me2day의 원조 서비스로 잘알려져 있습니다만 제가 '소셜 메시징'이라고 한데는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저는 웹 2.0을 초고속 인터넷망으로 인해 사람들이 인터넷에 직접 참여하면서 나온 문화적 결과라고 해석한 바 ...2008/08/27
무료 행사 유감(遺憾) – 글로벌 웹 기술 워크숍
지난 주 목요일 미래웹포럼이 주관하는 '글로벌 웹 기술 워크숍'이 있었습니다. 마침 OECD 장관회의가 끼어 있어 구글 빈트서프 부사장과 모질라 재단 미첼 베이커 의장께서 출국하는 날임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주제 발표에 응해주셨구요. 각 웹 브라우저 벤더에서도 해외 연사를 보내 자사의 글로벌 기술 방향과 한국의 인터넷 환경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었습니다. 특히 CSS ...2008/06/24
세상 많이 바뀐다! 플랫폼들의 변화
최근 몇 년 동안 컴퓨팅 플랫폼의 변화가 눈에 띄게 바뀌는 군요. 프론트 엔드, 백엔드 거기다 네트워킹에 대용량 처리까지 가세해서 온오프라인이 분간이 안갈 정도로 구름 속을 헤메는 컴퓨팅(Cloud Computing) 환경이 되어 버렸습니다. 좋은 건지 나쁜 건지? 백엔드 플랫폼의 변화 Google Search를 위해 시작된 분산 컴퓨팅 기술이 이제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Hadoop이라는 오픈 ...2008/05/28
웹2.0 시대의 불편한 진실
(해설) 이 글은 웹2.0이라는 흐름아래 오픈 API, 오픈 소스 지원, 데이터 이동 및 공유 등 '개방'과 '공유'라는 키워드로 이루어 지고 있는 다양한 기술 플랫폼 현상들이 마냥 장미빛 미래를 보여 주고 있지 않다는 불편한 사실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폐쇄된 S/W플랫폼 보다는 진보가 있지만 데이터 플랫폼을 독점하는 기업의 비지니스적 판단에 ...2008/05/14
외국 서비스가 성공하려면?- Myspace.com
4월 15일 미국 기반 유명 소셜 네트웍 사이트인 마이스페이스 한국어 사이트가 공식 오픈했습니다. 지금까지 블로거 간담회, 개발자 코딩 행사, 강연, 파티, API 컨퍼런스 등 할 수 있고 가능한 것들은 행사의 질을 떠나서 거의 총동원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특히 한국 사이트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주체도 폭스 인터랙티브라는 명확한 실체가 있는데다 주축이 ...2008/04/17
컨퍼런스 투어 2008
2월 한달을 Future Camp로 매우 바쁘게 시작했는데요. 연초를 맞아서 세 군데 해외 컨퍼런스를 연달이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우연히 정말 가고 싶었던 게 연달아 있어 특별히 시간을 내었습니다. Lift Conference (2월 6~9일, 스위스 제네바) Lift는 올해가 세번째인 참여형 유럽 웹 컨퍼런스입니다. 작년에 Lift 한국 워크샵 이후 Lift Asia를 Daum이 후원하기로 해서 Asia Editorial ...2008/02/03
FutureCamp 2008, 대화가 필요해!
2008년 한 해 각 분야별로 자신이 생각하는 전망을 발표하는 FutureCamp 2008 행사가 있었습니다. 우리 업계에 있는 15명의 자발적인 참여자들이 플랫폼, 웹 서비스, 웹 문화 등 세 가지 세션에 대해 10분씩 발표하고 30분간 토론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대기자가 140명 까지 몰릴 정도로 인기가 있었고, 실제 현장에 오신 200여분의 업계 관계자 및 학생들의 적극적인 ...2008/02/03
데이터 이동성(Dataportability) 훈풍 타다
작년 한해 열풍 처럼 다가왔던 소셜 네트워크 시장의 성장은 글로벌 웹 트렌드의 중요한 축이였습니다. 저는 이런 흐름은 인터넷을 '항시' 사용하면서 나오는 '브로드밴드 효과'로 나타나는 사람들의 문화적 행태로 말해왔는데 이미 한국에서도 과거 아이러브스쿨과 싸이월드를 통해 홍역 처럼 치뤘었죠. 문제는 글로벌 시장에서는 시장의 규모로 인해 더욱 플랫폼화 하고 있고, 웹의 정체성에 입각한 ...2008/01/17
웹 개발자 전상서(前上書)
아래 글은 월간 웹 2008년 1월호에 칼럼으로 게제된 원고의 초본입니다. 다사다년 했던 한 해를 마무리하고 희망찬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었습니다. 지난 한 해는 다양한 신 기술들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격동의 시기였습니다. 웹 개발자들에게는 신기술을 채용해야 할지에 대한 혼란과 새로운 모험이 교차 되는 한 해였습니다. 이는 전 세계적인 웹 기술 변화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2008/01/03
동영상-‘사용자 참여형 공간 정보 웹’ 강의

2007/11/26
Web 2.0 Summit 2007 후기
2004년, 2005년, 2006년에 이어 네번째로 열린 웹2.0 서밋에 대한 후기를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작년 처럼 3,200불의 비싼 등록비에 오로지 초대를 통해서만 참가할 수 있는 슈퍼 콘퍼런스로 급부상하여 접근성이 많이 떨어졌지만, 참가한 사람들에게는 현장에서 웹의 변화하는 모습 그 자체를 느끼고 이야기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좋은 경험이 될 것입니다. 물론 처음 갔다온 ...2007/10/31
Lift, 디지털과 현실의 만남
스위스에서 시작된 참여형 신 기술 및 비지니스 모델 그리로 인터넷 문화의 토론을 위한 Lift Conference가 서울에서 개최됩니다. 2007년 컨퍼런스 이후 한국에 관심을 가지게 된 Laurent Haug이 이번 미니 컨퍼런스를 주관 합니다. Spaces: From Real to Digital라는 주제로 9월 12일(수) 힐튼 호텔에서 열리게 될 이 행사는 Adam Greenfield, Bruce Sterling, 유연석 교수와 ...2007/08/21
Web 2.0 Machine is using us 한국자막
지난 웹앱스콘 인트로에 보여 드렸던 Web 2.0 Machine is using us의 한국어 자막 버전을 요청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동영상으로 다시 제공 합니다. 본 동영상은 캔사스 주립대의 디지털 인류학 연구실에서 만든 동영상으로 디지털 텍스트의 멋진 진화와 사람을 연결하는 웹2.0의 본질에 대해 잘 이야기 해주는 동영상입니다. 이미 많은 분들이 이 동영상을 보셨을 거구요. 한국어 ...2007/06/27
바캠프 서울2 열정의 만남
두번째 바캠프서울 행사가 양재동 Daum 본사에서 열렸습니다. 총 60여분의 업계 주요 오피니언 리더들과 정보 사회 관계자들이 자발적으로 모인 이 행사는 정말 "공유가 얼마나 아름다운 것인지" 몸소 체험할 수 있는 멋진 행사였습니다. 바캠프 서울2는 이전 바캠프와 거의 같은 포맷으로 이루어졌지만 주제는 더 다양해져 영화와 인터넷, 디지털 유산, 크리에티브커먼즈 등 다양한 기술과 사회에 ...2007/06/05
국내 웹 생태계 행사들
웹2.0이 국내에 전파(?) 된 이후에 가장 좋아진 것이 "업계에 활발한 커뮤니케이션 문화"가 생겼다는 것입니다. 물론 그 와중에 컨퍼런스나 강의로 돈 버는 것을 비판하는 분도 있지만, 전체 웹 생태계 측면에서는 그러한 활동성이 주는 효과는 매우 높다는 사실을 잊지 말았으면 합니다. 5월과 6월에도 그런 행사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몇 가지만 소개해 드릴까 ...2007/05/08
Web 2.0 Expo의 한국인들
오늘 부터 샌프란시스코 모스콘 센터에서 Web 2.0 Expo가 열립니다. 아마 수십명의 한국 IT 관련 기업의 사람들이 현장에 가 있는 것 같습니다. 2005년 Web 2.0 Conference에 단지 세 명의 한국인이 있었던 것에 비하면 놀라운 변화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좋든 싫든 많은 사람들이 웹2.0이 준 새로운 시각에 감동을 받은 것은 ...2007/04/16
links for 2007-01-13
Jack Slocum's Blog » DomQuery - A lightweight CSS Selector / Basic XPath implementation YUI 확장으로 개발한 DOM Query 퍼포먼스 테스트 결과 다른 방법 보다 월등한 성능을 보여 준다. (tags: DOM yui library) Tobie Langel - Attribute nightmare in IE getAttribute 사용시 IE에서의 문제점 (tags: attribute IE dom) Introduction to The Solr Enterprise Search Server Lucene을 이용하는 ...2007/01/14
links for 2007-01-12
Firefox3/Firefox Requirements - MozillaWiki Firefox 3.0 개발 요구 사항 목록 - 북마크 백엔드 교체, MS Infocard, Open ID 지원, PDF 저장 기능, Microformat 지원, 도움말 온라인으로 교체 등등.. (tags: firefox3.0 requirements) Digital Web Magazine - Upcoming Events 올해 있을 각종 웹 기술 컨퍼런스 및 워크샵 목록 : 관심 가는 곳은? Where 2.0, Xtech 2007, (tags: ...2007/01/13
추천! 정유진의 웹2.0 기획론
지금까지 주로 웹2.0의 기술적 특성과 트렌드에 대한 이야기를 해 왔는데, 이런 이야기를 기획자들의 머리에도 속속 들어오게 만드는 책이 나왔습니다. 이미 이전에 웹 기획자를 대상으로 한 기획론 한번 내서 대박을 터뜨린 바 있으신 NHN의 유진씨께서 정유진의 웹 2.0 기획론: 강력한 웹 2.0 서비스를 만드는 13개의 키워드이란 책을 쓰셨습니다. 그래서 제가 가만 있을 ...2006/12/04
Web 2.0 Summit 후기
2004년, 2005년에 이어 세 번째로 웹2.0 컨퍼런스가 웹2.0 서밋이라는 이름으로 열렸습니다. 세 번째 열렸던 이 컨퍼런스에 대한 정리를 해 두는 게 좋을 것 같아서 후기를 남김니다. 이번에 참가하신 한국분들의 참가 후기는 오픈 마루, Web2.0korea.org 그리고 mtgear 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만 저는 실제 그 자리에 있지는 않았습니다. (저의 초대권은 다른 분의 ...2006/11/14
웹2.0과 오픈 소스
지난 2월에 있었던 Web 2.0 Conference Korea에서 웹2.0의 기반 기술에 대한 발표를 하면서 웹2.0이 등장한 배경에 오픈 소스(Open Source)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의아하게 생각할 것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대다수의 사람들이 웹2.0을 비즈니스나 서비스의 혁신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기 때문이죠. 이번 달 창간하는 Open Source Magazine에 기고한 ...2006/06/02
시맨틱 웹, 2.0으로 거듭나라!
얼마 전 우리 나라 블로거들 사이에 국내 시맨틱 웹 연구의 현황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이 논쟁의 씨앗을 뿌린 ETRI의 전종홍 연구원은 과거 인공 지능(AI)이나 자연어 처리(NLP) 같은 시맨틱 연구자들이 “시맨틱 웹(Semantic Web)”이라는 이름을 빌어 연구를 계속 하면서도 정작 산업적으로 중요한 “웹”이 빠져 있는 국내 연구 실정을 개탄 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늘 ...2006/05/20
웹2.0 비즈니스 회의론에 대해
2006년 인터넷 업계에서 가장 큰 화두는 누가 뭐래도 웹2.0일 것이다. 그러나 작년 중반부터 몇몇 오피니언 리더들에 의해 국내에 알려지기 시작한 웹2.0에 대해 최근에는 “까 놓고 보니 별거 없더라”와 같은 반응이 튀어나오고 있다. 개인 사용자 참여나 집단 지성 같은 것들은 초고속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 때문에 인터넷에 익숙하다 못해 과도하게 집착하고 ...2006/05/09
Human-readable Semantic Web
얼마 전 Hollobit님이 온톨로지 유감이라는 글을 연재(?) 하신적이 있습니다. 이 토론을 간단히 요약하면 과거 인공 지능(AI)이나 자연어처리(NLP) 같은 시맨틱 연구자들이 "시맨틱 웹"이라는 이름을 빌어 연구를 계속 하면서 정작 중요한 "웹"이 빠져 있는 국내 연구 실정을 개탄하면서 부터 시작되었습니다. Hollobit님은 저랑 웹 코리아 활동을 할 때 부터 인트라넷, 지식기반(KB) 연구를 비롯해서 ...2006/05/02
Web 2.0, Lesson for Success
최근 들어 웹2.0란 용어가 확산되면서, 웹2.0이 뭔가 새롭고 다른 것으로 생각했다가 실체나 개념이 없는 마케팅 용어 처럼 보이니까 실망하는 분들이 많아 보입니다. 인수만을 비지니스 모델로만 삼는 신규 서비스의 포장 용어로 또 하나의 버블 처럼 생각하기도 합니다. 분위기에 편승해서 버전 마케팅을 하는 곳도 있습니다. 아예 웹2.0이라는 말을 뱉아 내지도 말고, 그냥 ...2006/04/04
Linkedin, 신 개념 비지니스 인맥 사이트
요즘 LinkedIn이라는 인맥 사이트에 푹 빠져 삽니다. 사실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란게 참 진부하게 느껴집니다만 Linkedin을 보면 좀 생각이 달라집니다. 이 사이트는 비지니스맨들을 위한 인맥 사이트인데, 기존의 SNS가 오픈 네트웍으로 되어 있다면 일단 이 사이트는 꽤 폐쇄적입니다. 우선 가입을 하고 사람을 찾고 일촌을 신청하는 것은 여느 SNS와 비슷합니다만 자신의 이력을 꼼꼼하게 ...2006/03/23
OpenAPI가 좋은 이유
태우님의 OpenAPI에 대한 긴 글을 읽고 나서 느낀 점을 한 마디로 표현 하면 OpenAPI는 혁신적인 개발자들에게 재미와 자유를 주면 그걸로 만족이다는 것입니다. 어떤 오픈 소스 개발자가 작년 4월에 만들어진 비공식 Daum Blog API를 이용해서 이글루스 이전 프로그램인 Blogyltransferase을 금방 만들 수 있는 것 하나만 봐도 그렇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오픈 소스 ...2006/03/22
Mix06에 왜 안 갔을까?
어설프게 초청 쿠폰 찾다가 등록 일자를 놓쳐서 MS판 Web 2.0 컨퍼런스격인 MIX06에 가지 못했습니다. 오늘 후회할 일이 벌어졌으니 그건 바로 라스베가스 Tao Nightclub에서 벌어진 저녁 파티입니다. 사진만 봐도 돈 엄청 부은 분위기가 물씬 풍깁니다. Waiting List에 올려서 참가라도 할 걸... (다 받아줘서 1,700명이 왔다는 군요.) 첫날 진행된 키노트와 Tim O'reilly의 대담은 미리 ...2006/03/21
NGWeb 2006을 마치고
NGWeb 2006 차세대 웹 통합 컨퍼런스가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한달 전 부터 준비해 온 컨퍼런스에서 프로그램 위원으로, 패널로, 강의자로, 튜토리얼 모더레이터로 열심히 뛰었는데 많은 분들이 와서 함께 만나고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자리가 되어서 참 즐거운 이틀이었습니다. Allblog NGWeb 블로그 자료나 NGWeb 행사 블로그를 보시면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후기를 볼 수 ...2006/03/15
Etech 2006 Coverage
O'reilly의 올해 첫번째 컨퍼런스인 Emerging Technology 2006이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컨퍼런스 뉴스, 사진, 발표 자료를 잘 정리해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Jeremy의 말을 빌리면 우선 이번 컨퍼런스가 호텔이 춥고 방이 작고 무선랜이 잘 안되었어도 발표 내용은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특히 올해 Etech은 작년과 달리 웹2.0 이슈의 연장선상에 있기 때문에 더 많은 ...2006/03/09
실리콘 밸리에서 배워야 할 것들
세 계 최고의 첨단 기술 연구 단지, 반도체와 IT 산업 전진 기지, 벤처 비즈니스, 벤처 캐피털에 의한 산업 복합체. 미국 서부의 실리콘 밸리는 이러한 화려한 수식어를 달고 있지만 온화한 날씨에 한적한 시골 풍경을 연상케 하는 곳이다. 한때 광적인 닷컴붐에 의한 벤처 열기가 후끈 달아 오른 곳이지만 지금은 조용한 변혁이 일어나고 있는 ...2006/03/08
미국판 세 자매 댄스
사용자 직접 참여와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웹 2.0이 화두가 되면서 YouTube에 올라오는 동영상이 나날이 재미있고 화끈해 지고 있습니다. 마치 우리 나라에서 인터넷에서 화제가 됐던 동성로 시스터즈나 세 자매 댄스를 보는 것 같군요. 미국과 유럽에서 브로드밴드와 디카의 확산이라는 "기반 인프라"가 한국 보다 훨씬 늦었기 때문에 우리가 봐서는 뒤늦은 열풍 처럼 보이는 ...2006/03/03
웹 어플리케이션 워크샵 안내!
작년 9월 Ajax 실전 워크샵에 이어 3월 13일~14일 양일간 열리는 차세대 웹 통합 컨퍼런스에서는 웹 2.0에서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 워크샵을 함께 개최합니다다. 튜토리얼 형식으로 제공 되는 이번 워크샵은 웹 기술과 브라우저의 발달로 인해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환경을 갖춘 RIA(Rich Internet Application)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특히 Google, Yahoo!, ...2006/03/03
MashupCamp도 앵콜을?
실리콘 밸리 기술 모임에 또 하나가 추가 됐습니다. 바로 2월 20~21일 양일간 열린 MashupCamp입니다. ZDnet의 기사대로 이 행사는 ZDnet의 편집장인 데이비드 버린드(David Berlind)로 부터 시작되었으며 다양한 업체들로 부터 후원을 받았습니다. 이 캠프는 무료로 참가가 가능한 데다가 Mashup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있는 터라 등록 받은 지 며칠 만에 300명이 등록해 버려서 ...2006/02/22
무엇이 Web 2.0의 2를 만들었나?
AdaptivePath의 컨설턴트인 Brandon Schauer가 Experience Attributes: Crucial DNA of Web 2.0라는 글에서 멋진 지도 하나를 소개했습니다. 오늘의 웹2.0이 있게 한 플레이어들의 시간차 공격을 잘 정리한 개념도 입니다. Download full map as a PDF 이 개념도에서 아마존, 이베이 같은 성공 기업들이 이룩해 온 토대를 이루는 속성으로 사용자 참여 가치(User-Contributed Value), ...2006/02/16
Web 2.0 컨퍼런스 어떠셨습니까?
Web 2.0 Conference Korea 2006에서 웹 2.0 기술 트렌드에 대해서 발표를 하고 왔습니다. (서명덕 기자님의 정리 감사하네요.) 400명이 넘는분들이 오셔서 아침 부터 저녁까지 거의 쉼 없이 진행된 컨퍼런스에 열심히 경청하는 모습에 정말 감동 받았습니다. 마치 1995년 충남대에서 있었던 제1회 웹 워크샵 현장에 앉아 있는 느낌이었습니다. 웹 2.0이라는 것을 떠나서 10년 ...2006/02/16
Web 2.0 Conference Korea 발표 B/S
웹 2.0 회사 들이 가지고 있는 대표적 기술 요소들을 한번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열 가지 모두를 가지고 있어야만 웹 2.0 서비스는 아니지만 대략적인 공통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웹 2.0 회사들이 가진 이들 특징은 기존 웹 서비스가 가기지 못했던 웹 에 대한 기본기였다는 점입니다. 1. 웹 표준(XHTML/CSS) 2 브라우저 ...2006/02/09
O’reilly ET2006 Conference
O'Reilly Emerging Technology Conference가 오는 3월 6일~9일 동안 샌디에고에서 열립니다. (와~ 샌디에고) 이번 컨퍼런스는 완전 pre-web2con 입니다. 스폰싱 하는 업체의 대부분이 web2.0 기반 회사들이군요. IBM이 크게 쏘고, MS가 발빠르게 움직입니다. Ebay가 스폰싱을 했고 MapQuest와 Thinkfree도 눈에 띄는 군요. 발표 주제에 역시 최근 신기술 이슈가 많이 담겨 있습니다. 이 중 몇 가지만 ...2006/02/07
새로 시작되는 웹2.0 컨퍼런스들
웹2.0에 대한 관심이 늘어 나면서 드디어 국내에도 웹2.0을 주제로 한 컨퍼런스가 열리게 됩니다. 좋은 기회를 받아서 두 개 컨퍼런스에 모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는데 국내에서 많은 사람들과 웹2.0에 대한 이야기를 함께 나눌 수 있는 자리가 마련 되어서 매우 기쁜 일입니다. 두 컨퍼런스 모두 다른 색깔을 가지고 있고 나름의 특색이 있기 ...2006/02/02
웹2.0은 결국 만드는 사람의 것
웹 2.0을 제대로 받아들이는 방법 (ZDNet 아스피린 하우스 ) 웹 2.0의 스토리 라인에는 치열한 투쟁 속에서 살아 남은 인터넷 기업들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이들이 살아 남은 이유를 발견하고 자신의 웹 사이트를 재 분석하라. 경쟁우위 요소라든가 진입장벽이라든가 킬러 애플리케이션이라든가 CRM으로 설명하지 못했던 "생존의 조건"을 웹 2.0의 스토리 라인에서 찾을 수 있다면 그대에게 ...2006/01/25
웹2.0에 대한 오해
드디어 사람들 입에 웹2.0이라는 단어가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웹2.0에 대한 기존 미디어의 관심은 최근 들어 매우 뜨거워 졌습니다. 작년 web2con이 끝나고 태우님의 주최로 만들어진 웹2.0 모임(관심자 미팅)과 지난 주 웹2.0 번개(말이 번개였지 세미나였음) 등에 흩어져 있던 사람들이 속속 모여들고 있지요. 김중태님의 시맨틱웹 출간과 함께 준비된 웹2.0 강연 및 좌담회 역시 비슷한 ...2006/01/23
국내 미디어, 웹2.0 관심 증폭
작년 연말과 올해 들어 웹2.0에 대한 국내 미디어들의 관심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오늘 조선일보 D1(50면)에는 웹2.0 특집이 실렸습니다. 이 기사에서 주로 다룬 국내 웹 사이트들이 아직 웹2.0의 기본 컨셉에는 부족한 점이 많은 건 사실입니다만 외국 보다 더 빨리 힘을 내자라는 시도로 봐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관심 가져 주시고 기사를 써 주신 백승재 기자께 ...2006/01/17
Identity2.0과 OTP 서비스
Identity2.0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Guldook님이 OTP(One time password) 방식을 사용한 리니지 게임과 계정 도용 방지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합니다. 리니지 OTP센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이 서비스는 인터넷/폰 뱅킹의 보안 카드와 같이 원리가 아주 간단합니다. OTP서비스에 가입된 사람은 자신의 휴대폰에 OTP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자신만의 암호 SEED를 ...2006/01/12
「한국형 웹2.0 서비스」의 현 주소
지금 실리콘밸리에 다시 한번 닷컴붐(Boom)이 일어나고 있다. 1990년대 말 일었던 거품(Bubble) 현상은 아니지만 닷컴 업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기에는 충분하다. 많은 벤처 투자자들이 다양한 웹2.0 기반 벤처 기업과 사업가들을 지원 하고 있고, 이미 몇몇 회사들은 대형 포털에 M&A 되거나 자체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뿐만 아니라 이제 웬만한 신규 서비스에서 웹2.0이 주창하는 ...2006/01/10
MS의 Simple Sharing Extensions
MS의 구원자로 떠오른 새로운 CTO (중의 한명)인 Ray Ozzie가 Simple Sharing Extention Spec을 발표했습니다. (이 사람 언제 블로그 까지 만들었대?) Simple Sharing Extensions for RSS and OPML은 한 마디로 말해 RSS와 OPML을 위한 확장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A와 B 모두가 RSS나 OPML에 item에 대한 history와 related-channel을 알려 주는 확장 태그를 ...2005/11/23
웹2.0은 ‘회귀 본능’이다
90년대 초반 웹을 만들고 전파했던 Web Evangelist의 입장에서 보면 현재 Web2.0이라는 조류가 못마땅하고 그냥 마케팅 용어로만 치부할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실제로 Tim Bray가 Not2.0이라고 말한 것이나 Hollobit이 비판적으로 바라본 web 2.0 - "웹2.0은 없다"라고 이야기 하는 것도 당연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런데 가만히 살펴보면, 하나하나의 키워드는 결국 "초기 인터넷"이 지향했던 키워드와 ...2005/11/15
Web2.0에 대한 정의
Web2.0의 개념 Download big image - 전략적 위치: The Web as Platform - 사용자 위치: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제어 할 수 있다. No one own it, Everyone can use it, Anyone improve it 핵심 가치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서비스 능동적인 참여를 기초로 하는 기술 구조 비용 대비 효과적인 확장성 데이터 소스와 변환이 함께 제공 가능 단일 디바이스를 넘어서는 소프트웨어 서비스 공동 저작, ...2005/11/02
웹 2.0이란 무엇인가? – Tim O’reilly
Tim O'reilly가 쓴 What's Web2.0?이란 글에 대한 한국어 번역이 나왔습니다. 뛰어난 프로그래머이시면서 다수의 한및 미디어 역서를 가지고 계신 한동훈님이 번역을 하셨습니다. 컨퍼런스 중에 Tim에게 한국어 번역을 이야기 했고 메일로 동의를 받았는데 제가 약간 게으른 사이에 역시 좋은 분이 잘 번역해 주셨습니다. 이렇게 웹2.0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것이 좋은 따름입니다. 지금은 연재 ...2005/10/23